136. 좋아진 상상력은 창의력이 요구되는 일에서 당신을 도와준다
[백제의 부흥운동과 내분]
*백제의 부흥운동가-흑치상지 . 도침 . 복신
‘흑백도복’ 입고 싸우자!
*주류성-복신 . 도침 . 풍
주류(술)를 너무 마셔서 ‘복’통 ‘신’음, ‘풍’이 생겼다.
주류(술)성에서 ‘침’술장이 활동.
*임존성-흑치상지
사랑하는 ‘임’이 ‘흑’흑 운다.
*도침이 부여풍을 추대
‘침’술장이가 휴양지로 ‘부여’의 ‘풍’경을 추천(추대).
*복신이 도침을 주ㄱ였다
‘복’통으로 ‘신’음하는 데 ‘침’이나 맞으라고? ‘침’을 확 부러 뜨리다.
*부여풍이 복신을 주ㄱ였다
‘풍’선을 빵 터뜨려 ‘복’통 ‘신’음하는 사람을 놀래켜 주ㄱ였다.
*부여풍은 부여융(웅진도독)에 패배
‘융’단 폭격으로 ‘풍’ 환자 ‘풍’지박살.
‘융’성 발전한 ‘웅진’ 그룹
[연상기억법]
*서울지하철 개통-1974년
지하철을 철사(74)로 만들었다.
*서울 종묘 등지에 설치한 앙부 일귀
‘종’일 ‘묘’에서 ‘앙’앙 ‘부’둥켜 안고 운다.
*“장안에 화제가 된다”의 장안은 현재 중국의 서안
장안의 화제에 대해서 ‘서’로 ‘안’부를 묻는다.
137. 댓글 소개. 유명한 학원 선생님들 보면 다 이렇게 가르쳐
*금마저에서 고구려의 부흥 운동-안승
금마저 ‘안’ 통해.
*금마저(익산-보석도시)
‘익’크! ‘산’더미처럼 쌓여 있구나, 보석이.
그러니 금마저 안 통해.
*당의 앞잡이가 되어 고구려를 멸하는 데 도운 사람은 남생? 남산? 남건?
남생. 얌생(남생)이 같은 ㄴ!
[9서당의 옷 색깔]
*고구려인-황금서당
‘고구’마는 황금색.
*말갈인-흑금서당
흑말.
*백제인-백금서당, 청금서당
백군 이겨라! 청군 이겨라!
*신라인-녹금서당, 자금서당, 비금서당
자기들 신라는 시원한 ‘녹’색 차지.
자금, 비자금, 비밀금고도 독차지.
*보덕-적금서당과 벽금서당
적금’타서 ‘보’답했다.
‘벽’에 ‘금’간 것 고쳐주어 ‘보’답. ‘덕’을 베풀었군.
[연상기억법. 작가}
*강촌별곡-차천로
강촌은 ‘차’로 ‘천’리길.
*패관잡기-어숙권
‘패’설과 ’잡기‘나 좋아하는 ’어‘리’숙‘한 사람.
138. 댓글 소개. 부여-영고 . 순장 / 부영이 부순이
*검모잠은 안승을 왕으로 받들고 부흥 운동
‘검’도 ‘모’자라고 ‘잠’도 부족해서 ‘안’돼. 안 통해.
*발해의 부흥운동-열만화가 정안국 건국
열이(열) 많아서(만) ‘정안’수를 떠놓고 빌고 있다.
*6두품은 아찬까지 밖에 승진할 수 없었다
‘아’, 맨날 ‘찬’밥 신센데 누가 충성해!
[신라, 두품의 관복 색깔]
*진골 이상급-자색
진자주색(진, 자).
*6두품 급-비색
‘비’참하게 몰락한 6두품.
*5두품 급-청색
오(5), ‘청’명한 하늘!
*4두품 급-황색
죽으면(4) ‘황’천길.
[연상기억법. 출전]
*‘먼 곳에서 친구가 찾아오니 그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논어의 학이편
친구가 찾아와서 ‘논’다.
‘학’생 때 ‘이’사 간 친구가 찾아와서 논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삼국유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와 ‘유사’.
139. 댓글 소개. 한강 유역을 차지한 순서, 백제-고구려-신라 / 백고무신
[예술의 특징]
*백제-우아, 세련
우아하고 세련된 백제의 삼천궁녀.
*통일신라-조화미
삼국을 조화롭게 다스린 통일신라
*발해-웅장하고 건실
‘발’이 크면 웅장하고 건실.
[불교]
*백제의 불교-율종 발달, 말기에 열반종 유행
백제 삼천궁녀의 ‘율’동.
말기에 망할 것을 알고 열반종을 믿었다. 열반에 들려고.
*계율종은 삼국이 모두 중시
‘계율’을 잘 지키는 훌륭한 인재가 필요해서.
*삼국시대의 불교는 호국적인 성격이 강하여 인왕경이 존중되었다
스님들이 ‘인왕’산에서 무술 훈련, 호국!
[연상기억법. 중국]
*그물 만드는 법, 사냥하는 법을 가르쳤다-복희씨
그물을 ‘복’잡하게 촘촘히 짰다.
*불을 피우고 고기를 익혀 먹는 법을 가르쳤다-수인씨
익혀 먹고 ‘수인’성전염병 예방.
*일신우일신-은나라 탕왕의 유물에 새겨져 있던 말
돌아온 ‘탕’아가 그렇게 좋은 말을?
140. 댓글 소개. 한반도에서 위에서부터 재배. 고구마-가을밀-그루갈이-대나무-귤
/ 고구마가 그대 차속에 귤과 함께 있노라!
[불교]
*법성종 개창-원효
유명한 원효스님은 ‘성’스런 분.
법성포, 원효로. 지명!
*법상종 개창-진표
‘상’으로 이 ‘진표’를 주마!
*법상종(귀족불교)
귀족들이 ‘법’을 잘 지켰다고 ‘상’을 준다.
*열반종 창시-보덕(보장왕)
열반에 들 것을 ‘보’장한다. ‘덕’을 많이 쌓으면.
*화엄종 창설-의상
‘화’려한 의상.
*고려 초 균여로 이어지는 의상의 법맥
‘의상’의 균열(균여)이 심해도 계속 입었다.
[연상기억법]
*외모지상주의를 가리키는 말-루키즘
누구(루) 키가(키) 더 큰가 재보자.
*도시의 교외지역이 무질서하게 주택화하는 현상-스프롤 현상
‘스프’레이로 확 날려버려!
*도시의 젊은 전문 직업인이 돈과 건강관리를 인생의 중요 목표로 삼음-여피족
‘여’유있게 ‘피’서도 다니면서 산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