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0 21:05

라이트 노벨?

조회 수 210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라이트 노벨이란 것에 조금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벼운 주제를 다룬 옴니버스 형식의 단편 에피소드 소설이라 칭하며 캐릭터 소설등 여러가지로 지칭되고 있더군요. 주변 사람들의 인식에서 라이트 노벨이란 것을 살펴 보았을 때, 최초에 판타지라는 장르가 하이텔, 나우누리 등 웹사이트에 게재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때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혹자는 오타쿠를 위한 외설을 기본으로 한 악서라는 평과 캐릭터의 개성에 강한 비중을 두어 그것을 이미지화 시키는 역동성 넘치는 시나리오급 소설이라는 평도 있더군요.

  우선 라이트노벨의 근본이라 할 수있는 일본에서 라이트 노벨은 순수만화 시장을 위협할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더군요. 애니메이션 업계가 강력한 힘을 발휘 하는 일본에서 조차 기반이 되는 출판만화 시장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것 같았습니다. 라이트 노벨에서 애니메이션화로 이어지는 다수의 작품이 요즘 주를 이루고 있는 일본 애니 업계의 현실을 탄식하는 전문가의 발언도 라이트 노벨이 말대로 가볍기만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있게 해주었죠. 그런 일본의 상황을 토대로 한국으로 넘어온 라이트 노벨은 과연 어떤 방식으로 독자층을 이루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예상외로 쉽게 파악 할 수 있었습니다.

  라이트 노벨을 집중적으로 출판하는 모 사이트에서 공고하기를 라이트 노벨의 주 독자층은 10대의 남성(청소년) 독자라고 명시하고 있더군요. 어째서 10대를 주로 이루며 남성독자라고 명시 할 수 있는 것일 까라는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답은 또 의외로 간단히 나왔습니다. 최초 판타지의 양상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판타지 역시 현재의 라이트 노벨과 마찬가지로 10대와 20대가 주된 독자층을 이루었죠. 현실의 고뇌나 추구하는 이상향 등의 아직 성장중인 어린 학생들에게는 어려울지도 모르는 그런 책들 보다. 환상적이고 하고 싶은 말 다하는 또 절대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들이 망라한 판타지와 라이트 노벨은 현실을 직시하게 하는 소설보다 현실을 도피한 환상의 세계를 꿈꾸는 감성이 풍부하고 여린 청소년 층에게는 대단한 매력으로 느껴졌던 것입니다. 90년대 초 한국형 판타지라는 장르가 들어올  당시 일부 문학계에서는 문인으로 인정 받지 못하는 비전문성을 지닌 작가의 글 따위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경향을 보였고, 한순간 지나가는 SF의 변형 정도로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우혁씨의 퇴마록이라는 책이 전체 도서 베스트셀러 10위 권에 5권의 이름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이영도씨의 드래곤 라자등 줄지어 나온 비문인의 비문학 장르의 소설이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리자 출판 업계는 말 그대로 양산을 시작하게 되었죠. 영리 목적의 판매용 도서로는 너무나 잘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비 문인이기에 한국문인협회의 눈치를 볼것도 없이 값산 인세와 원고료를 지불하고 자신들은 전국 지방의 수많은 도서 대여점을 목표로 판매를 진행하더라도 남는 장사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야기만 맞춰진다면 출판을 간행 했죠.  (본인과 본인의 친구 역시 대학초 판타지와 무협장르로 출판을 해보았고 그때 받은 원고료는 한달 평균 70~80정도 였습니다.) 

 

  그 결과가 판타지는 절대 문학으로 인정 받을 수 없는 저급 소설로 취급 받는 사태로 이어져 지금까지도 판타지는 장르의 한 종일뿐 절대 문학소설로 인정되지 않죠. 영미권에서의 판타지와는 전혀 다른 취급을 받고 있는 것이죠.

 

  라이트 노벨 역시 일본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에도 아직은 외설 논란과 비전문성으로 인한 작가 자질논란에 말이 많은 장르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라이트 노벨은 그런 옹호하는 것과 비판하는 양자의 견해를 철저히 배제해 버리는 출판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가의 선정에 앞서 그들이 생각 하는 것은 오로지 판매부수에 초점을 맞춘 시장에 통하는 작가를 선정한다는 것입니다.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과 같은 출판사 역시 영리를 추구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사회통념의 기본에는 기업은 사회로 부터 받은 영리를 사회로 환원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출판사는 좋은 작가를 찾아 좋은 책을 독자들에게 제공하여 그것을 다시 영리로 추구해야 함이 당연함에도 한국 라이트 노벨 업계에서는 그것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Light Novel 가벼운, 읽기 쉬운 소설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정작 한국의 라이트 노벨을 살펴보면 Light 외설을 밝히는 소설이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는 다는 것이 한국 라이트 노벨에 대한 저의 견해 였습니다.

.

.

.

.

 .

.

.

.

.

.

.

.

.

  여담이지만 책을 쓰는 작가는 책을 읽어주는 독자들을 배려해서 글을 써야 합니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독자는 그 책을 읽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 그 책을 읽을 수 있는 지식의 수준이 갖추어 져야 한다고 합니다. 부끄럽게도 한국은 독서에 관한 타이틀이 많습니다. OECD회원국중 최하위의 국민 독서수준, 출판업계 최다 누적판매 도서 Top10은 그 어느 장르도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중,고생 참고서적(대표적으로 수학의 정석)입니다. 한해 최다판매 베스트 셀러는 문제집이라는 소리죠.

 

  책을 읽는 독자의 수준이 높아진다면 책을 쓰는 작가 역시 그 수준을 높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일 테지요. 한국인들이 가장 책을 읽지 않는 계절이 가을입니다. 출판업계의 코멘트인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말이 어서 빨리 사라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
  • profile
    Vermond 2011.04.20 21:33

    무슨 말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라노베가 이렇고 판타지가 이렇다 하는 정도의 글이라면 괜찮겠지만

    토론 게시판인만큼 "무엇에 대해서" 토론할지가 나와야 되는데 안보이네요

  • ?
    Roci 2011.04.20 23:55
     이글을 쓴 취지가 원래는 요즘 몸집을 키워가는 라이트 노벨 출판업계를 예로 들어 함께 환타지 소설과 라이트 노벨을 맹목적인 상업적인 판매수단으로 장르의 질을 떨어뜨리는 일부 출판업계를 비판해 환타지 소설과 라이트 노벨이 경시받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를 이야기 해보려고 한 것인데 생각한데로 잘 정리를 하지 못한것 같습니다. 읽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면 죄송합니다.

    (그런데 이걸 어디서 부터 수정하고 건드려야 할지 모르겠네요 -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5932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7773 1
5302 서태지, 이지아~ 11 乾天HaNeuL 2011.04.22 1056 0
5301 한국에서 점점 설자리가 없어지는 게임계의 희망 1 찰드 2011.04.21 899 0
5300 그냥 막는김에 Vermond 2011.04.21 618 0
5299 청소년 심야게임 셧다운제 4 천무 2011.04.21 826 0
5298 기분upup 1 gym12 2011.04.21 790 0
» 라이트 노벨? 2 Roci 2011.04.20 2103 0
5296 예비군 하는데 장군이 뭘 보러와 1 닭느님 2011.04.20 692 0
5295 소강상태 글램 2011.04.20 1019 0
5294 장르소설 혹은 라이트노벨 4 악마성루갈백작 2011.04.20 2173 0
5293 걸스데이 <너의마음을내게준다면> 반짝반짝빛나는OST Part3 티저영상 최초공개! sprigunno1 2011.04.20 1393 0
5292 OTL Vermond 2011.04.19 621 0
5291 아ㅠㅠ 진짜 대학생 되니까 대박이네 3 네모누리 2011.04.19 776 0
5290 nds 에뮬 이상하네.... Vermond 2011.04.19 714 0
5289 예전에 써둔 소설 지금보니까 1 로엔 2011.04.19 584 0
5288 그림동 자게는 제가 정ㅋ벅ㅋ 새턴인DAN 2011.04.19 1105 0
5287 내가 자유게시판을 점령하겠다. 1 천무 2011.04.19 602 0
5286 교양있는 창도인을 위한 팝 퀴즈1 3 천무 2011.04.19 920 0
5285 교양있는 창도인을 위한 클래식 퀴즈2 2 천무 2011.04.19 1120 0
5284 다리밑에서 제작중. 1 천무 2011.04.19 806 0
5283 테시오를 빨리 데려가주세요. 4 천무 2011.04.19 676 0
Board Pagination Prev 1 ...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 1178 Next
/ 1178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