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기획
2. 프로토타입 제작
게임의 대략적인 모습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다.
그래픽은 임시그래픽으로 대체.
3. 툴, 엔진 작업
프로토타입이 끝나면 툴과 엔진을 만든다.
보통 세부기획과 동시에 진행한다.
엔진을 사서 할 경우엔 엔진을 연구하는 기간으로 사용한다.
데이터 작업이 마무리되기 전 까지는 계속 하며 기획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추가, 수정을 계속 한다.
4. 세부기획
각종 설정과 원화 등등 많은 사항이 진행된다.
나중에라도 계속 변화된다.
5. 데이터 작업
세부기획이 끝나면 그래픽, 맵, DB 등 많은 데이터를 실제로 작성하게 된다.
툴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바로 게임에 사용될 데이터로 만들지만
툴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원본 상태까지만 작업한다.
6. 게임 프로그래밍
툴 작업이 완전히 완료된 후 부터 시작.
엔진의 경우엔 작업 중에 필요에 따라서 기능을 추가하기도 한다.
게임 프로그래밍 순서↓
=데이터 입출력=
이동 /// 맵 만들고 캐릭터 생성해서 움직여 봅니다. 각종 충돌처리 등 게임의 룰도 처리해야 한다.
전투 //// 전투 관련 시스템을 만들고 테스트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서 기획자와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수정해야한다.
=인공지능=
간단하더라도 AI를 설계하고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당연하지만 인공지능은 게임마다 다르다.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작업. 그리고 게임 세이브&로드 기능도 추가한다.
=스크립트=
게임의 연출에 필요한 각종 스크립트를 작업한다.
스크립트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면 이것을 게임에 적용시켜 명령어를 구현하는 작업을 한다.
=효과=
마지막으로 게임에 화려한 옷을 입히는 작업이다.
효과를 많이 사용할 수록 게임은 느려진다.
=알파테스트=
데이터 작업과 프로그래밍 작업이 종료되면 버그를 잡기위해 실시한다.
보통은 회사 내에서 실시한다.
=밸런스 조절=
전체적인 게임성과 난이도가 결정된다.
=베타 테스트=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닷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