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사실 이경우는 제가 강좌를 쓰려다가 말았던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스크립트를 열어서 폰트를 수정해야 합니다."
이건 제가 연구하면서 알아낸 아주 약간의 지식입니다.
스크립트에서 폰트를 수정하는 것에서 배열은 운용방식을 뜻합니다.
즉, 글자체를
"arial" "바탕체"
이렇게 한다면 알툴은 일단 arial을 운용합니다.
하지만 아시겠지만, arial은 어디까지나 영어의 기본 폰트이므로 "아야어여"와 같은 한글은 써지지가 않죠.
이때 알툴은 서포트 글자체로
"바탕체"를 운용합니다.
그럼 "아야어여"가 써지겠죠.
하지만 "뷁"같은 글자를 치면 공백으로 나옵니다.
무슨 뜻일까요,
바로 arial이나 바탕체로는 "뷁"이라는 글자를 운용할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뒤에 "굴림체"를 넣어준다면 (굴림체가 "뷁"이 써진다는 가정하) "뷁"은 굴림체로 운용되겠죠.
같은 원리 입니다. 만약 질문자께서 스크립트에서 글자체를 만지지 않았다면,
기본 글자체인 "굴림체""바탕체"가 있을겁니다.
운용은 "굴림체"로 영어를 돌리고 한글을 돌립니다. 그리고 굴림체로 돌아가지 않는 글씨체는 바탕체로
돌아갑니다.
이것을 일어에 적용시켜 봅시다.
일어중 "は"라고 쳐보면 이 글자는 스크립트 내에서 "굴림체" 로 운용을 해봅니다.
...
...
스크립트 : 야, 저게 뭐냐? 내가 아는건 영어랑 한글뿐인데..
디버그 (버그를 점검하는 시스템) : 몰라, 공백처리해.
....
....
ㅡㅡ;;
이러면 공백으로 나옵니다.
..
뭐 대충, 이런 운용방식을 설명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이때 필요한것이 스크립트로 들어가서 일본어 폰트로 운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폰트스크립트는 보통 window_base에 있습니다.
없어요? 없으면... 잘 뒤져 보세요 ㄱ-
Font.default_size = 22
Font.default_name = ["굴림체","고딕체"]
통상적으로 이런 스크립트거나,
Font face = "굴림체"
이정도 입니다.
기본 스크립트라면 위에 스크립트가 있겠군요. 참고로 일본어 폰트는 네이버 지식인에다가 물어보세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스크립트를 열어서 폰트를 수정해야 합니다."
이건 제가 연구하면서 알아낸 아주 약간의 지식입니다.
스크립트에서 폰트를 수정하는 것에서 배열은 운용방식을 뜻합니다.
즉, 글자체를
"arial" "바탕체"
이렇게 한다면 알툴은 일단 arial을 운용합니다.
하지만 아시겠지만, arial은 어디까지나 영어의 기본 폰트이므로 "아야어여"와 같은 한글은 써지지가 않죠.
이때 알툴은 서포트 글자체로
"바탕체"를 운용합니다.
그럼 "아야어여"가 써지겠죠.
하지만 "뷁"같은 글자를 치면 공백으로 나옵니다.
무슨 뜻일까요,
바로 arial이나 바탕체로는 "뷁"이라는 글자를 운용할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뒤에 "굴림체"를 넣어준다면 (굴림체가 "뷁"이 써진다는 가정하) "뷁"은 굴림체로 운용되겠죠.
같은 원리 입니다. 만약 질문자께서 스크립트에서 글자체를 만지지 않았다면,
기본 글자체인 "굴림체""바탕체"가 있을겁니다.
운용은 "굴림체"로 영어를 돌리고 한글을 돌립니다. 그리고 굴림체로 돌아가지 않는 글씨체는 바탕체로
돌아갑니다.
이것을 일어에 적용시켜 봅시다.
일어중 "は"라고 쳐보면 이 글자는 스크립트 내에서 "굴림체" 로 운용을 해봅니다.
...
...
스크립트 : 야, 저게 뭐냐? 내가 아는건 영어랑 한글뿐인데..
디버그 (버그를 점검하는 시스템) : 몰라, 공백처리해.
....
....
ㅡㅡ;;
이러면 공백으로 나옵니다.
..
뭐 대충, 이런 운용방식을 설명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이때 필요한것이 스크립트로 들어가서 일본어 폰트로 운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폰트스크립트는 보통 window_base에 있습니다.
없어요? 없으면... 잘 뒤져 보세요 ㄱ-
Font.default_size = 22
Font.default_name = ["굴림체","고딕체"]
통상적으로 이런 스크립트거나,
Font face = "굴림체"
이정도 입니다.
기본 스크립트라면 위에 스크립트가 있겠군요. 참고로 일본어 폰트는 네이버 지식인에다가 물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