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74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사는 링크만 걸어놓습니다. ->여기


 몇가지 특이할 만한 점이 있는데요. 우리에게는 상식적으로 느껴지는 것들이 실은 한국인들만이 공유하는 문화라는 사실이 주목할 만합니다. 물론 이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겠지만, 정확히 어떤 문화가 외국인들에게 낯설고 한국인들에게 고유한 것으로 여겨지는지는 저처럼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인터뷰 내용에서 엿보이는 것은 주로 '한국인만의 통과의례', '계절감', '분단 등에서 비롯된, 이념에 대한 높은 관심도', 그리고 '청교도적 결벽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정도겠네요. 부연설명은 덧붙이지 않고 제가 생각하는 근거만 집어내겠습니다.


 ...버고 씨도 그녀의 말에 동의했다. 그가 느끼기에 한국 사회는 외국인이 그 일원이 되는 게 가장 힘든 나라들 중 하나다. 왜냐면 한국에는 한국인들만 알거나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군대, 대학수학능력시험, 설과 추석 등등. 한국인들은 다들 비슷한 경험을 하면서 자라난다...  - (통과의례)


..또 재미있는 것은 한국 소설에는 유난히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장치들이 많이 등장한다는 점. 가령 '삼계탕을 먹는다'는 구절이 나오면, 한국 사람들은 삼계탕이라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그날이 복날, 즉 여름철임을 알 수 있다....벚꽃도 마찬가지이다. 벚꽃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것만으로도 한국 독자들은 봄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안에 담겨진 새로운 시작이란 의미까지 읽어낸다.  - (계절감)


...하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공산주의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존재감을 지니고 있다.  - (분단, 이념)


...'성적인 요소들이 많이 담긴 소설들이 교과서에 실리는 것도 놀라워요. 미국에서 고등학교 다닐 때는 그런 소설들은 읽어본 적이 없거든요. '보수적'이라고 말하는 한국 사회에서...'  - (청교도적 결벽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어떠한 소설이 한국적, 혹은 한국인이 쓴 것으로 보이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이런 인터뷰나 관련문헌 등을 참조하다보면, 한국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좀 더 깊어질 거라 생각이 듭니다. 이해가 깊어지면 자연스레 우리가 어떤 것을 가지고 이야기로 풀어야 하나, 라는 의문도 풀리리란 생각이 드네요. 남들에게 낯선 것은 우리의 강점이자 매력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단, 인터뷰 속 다른 이야기에도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면 말예요.


 '한국 소설에 등장하는 풍부한 주제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한국인이 될 필요는 없는 듯해요.'


  항상 어디서나 듣는 얘기지만, 어떤 이야기든 그 주제만큼은 인류보편적이 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최소한 우리 이야기에 남들이 공감하고 귀기울이게 하려면 말예요.


 글을 쓰는 분들, 혹은 쓰고자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생각할 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
  • ?
    동래만호 2012.04.17 02:46

    한국적인 것이라는 걸, 인공적으로 만들거나 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인 대다수 일반이 즐기는 것이 곧 한국적인 것이며 전통이라고 생각..

  • profile
    윤주[尹主] 2012.04.17 04:24

     한가지 가지고 여러 얘기가 나올 수 있네요;;

     일단 전 외국인들에게 낯선 소재를 가지고 보편적 주제를 풀거나, 혹은 내국인들에게 익숙한 소재를 가지고 낯선 장르를 풀어낼 경우 보다 사람들이 이야기에 흥미를 가지지 않을까, 란 취지에서 얘기를 꺼냈습니다. 공통분모를 가진다는 전제 하에서, 사람들은 항상 새로운 것, 생소한 것에 호기심을 갖기 때문에요.


     천무님께선 문화의 배타적인 성격을 지적하신 것같습니다. 구성원들이 독특한 공통의 문화를 가진다는 건 조직에 속한 사람으로선 장점이지만, 조직 외부에서 보았을 땐 천무님 지적대로 벽으로 느껴질 수 있겠죠. 제가 이제껏 본 바로는, 문화의 배타적인 측면이 항상 단점이거나 항상 장점으로 적용되지만은 않았습니다. 예컨대 DC는 수많은 자기들만의 언어, 자기들만의 얘깃거리를 만들어내며 배타적 문화를 형성했지만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이 일어나는 DC를 실패한 사이트로 보긴 힘들겠죠.

     중요한 건 그 커뮤니티가 가진 문화가 배타적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오히려 커뮤니티가 가진 독특한 문화가 매력적인가 아닌가란 생각이 듭니다. 매력적 문화가 있다면 배타적이건 아니건을 떠나서 사람들이 모인다더군요;


     동래만호님 얘기처럼 한국적인 것을 인공적으로 만들어선 안될 겁니다. 다만 문화의 어떤 부분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는 것도 인정해야겠죠.

     한국인 대다수 일반이 즐기는 것이 전통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 전통이 무엇인가'라고 물었을 때 한국 대다수 일반이 무엇을 즐기는지 알아봐야 할 겁니다. 하지만 같은 한국 사람 시점에서 보았을 때 우리가 즐기는 것들 중 정말 고유하고 독특해 '한국적이다'라고 부를 수 있는 게 뭐가 있는지 알긴 힘들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적이다'고 말할 수 있는 걸 찾기 위해선 부분적으로나마 외국인들의 관점, 시각이 필요한 거 같네요. 그들이 보기에 우리가 먹는 무엇이, 우리가 입는 무엇이 특이해 보이는지 말예요.


     어쨌거나 딱히 말하고자 했던 게 이건 아니었던 거 같지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4406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6113 1
7102 카오스 링즈 2 최곱니다 ㅋㅋㅋㅋ 4 Vermond 2012.04.19 219 0
7101 4월 18일 생일 입니다 ㅠ 1 작은영웅 2012.04.19 210 1
7100 돈라면 시식기. 2 乾天HaNeuL 2012.04.19 206 0
7099 예전에 하던사람들 있나...ㅋㅋ 2 2012.04.19 173 0
7098 방송이나 할까 Vermond 2012.04.19 162 0
7097 슈팅게임! 2 file 초밥 2012.04.18 185 1
7096 근황 2 루넨스 2012.04.18 229 0
7095 쿵~ 현재 제가 기다리는 물건. 6 乾天HaNeuL 2012.04.17 206 0
7094 모에니즘 최근 근황 2 모에니즘 2012.04.17 198 1
7093 삼국지 12가 나온다기에... 8 乾天HaNeuL 2012.04.17 274 0
7092 카르마100문답... 카르마 2012.04.16 606 1
» 한국 소설에 대한 외국인들의 말 중... 3 윤주[尹主] 2012.04.15 374 0
7090 아침에 쓰는 잡설. 1 乾天HaNeuL 2012.04.15 195 0
7089 내 운명 피하고싶어 2 로엔 2012.04.15 201 0
7088 고민이 있습니다. 4 dbeld 2012.04.15 210 0
7087 기분이 아침부터 상쾌하군요. 8 乾天HaNeuL 2012.04.14 229 0
7086 [폭파됨] 2 코드 2012.04.14 232 0
7085 파마인증.JPG 2 file MBlack 2012.04.13 375 0
7084 오랜만입니더 1 file MBlack 2012.04.13 185 0
7083 오랜만에 연예인 "여자"들 좀 까겠습니다. 14 乾天HaNeuL 2012.04.13 785 0
Board Pagination Prev 1 ...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 1178 Next
/ 1178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