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신은 대충 유명한 걸로 깔면 거기서 거기
90년대, 2000년 정도까지만 해도 백신별로 검진 %율이나 검사 속도가 좀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이때는 하드웨어 스펙이 낮았던 탓에 백신이 쳐느리면 완전 컴퓨터 골로 가니깐요
근데 요즘은 전반적인 컴퓨터 사양이 높아져서 엔간한 백신은 미치지 않았으면 속도 잘 나옵니다
유명한 걸로 백신을 써야 되는 이유는
일단 백신 프로그램은 바이러스를 진단해야 되는데 그 바이러스를 진단하려면 많은 바이러스가 필요합니다. 이거 백신 회사에서는 엄청난 자산입니다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가) 무료 백신을 뿌리는 이유는 이 바이러스 데이터를 많이 모으기 위해서인 측면도 있지요.
그래서 사용자가 많을수록 바이러스 체크가 잘 되었고, 카스퍼스키가 명성을 날렸던 이유죠. 근데 요즘은 어지간히 %에 민감하지 않는 이상 엔간한 바이러스 잡스러운건 거의 다 잡아내니까 상관없습니다.
제대로 들어갈려면 오진확률이나 검사 속도, 백업 기능 등등을 따져봐야 되지만 그런거 초보자는 잘 모르니까 걍 유명한거 쓰면 됩니다.
유명해도 피해야 될 제품은 알약. v3도 광고를 내뱉지만 이건 브라우저를 따로 띄우는 식이라 괜찮은데 알약은 내부에 광고를 띄워서 이게 백신제품 약점으로 작용하고, 실제로 이걸 통해서 감염된 적도 있습니다. 게다가 이스트라는 회사 사장 마인드가 글러먹어서 그게 제품에까지 영향을 미친지라... 지금은 고쳐졌지만 자기 자신을 바이러스로 진단하고 지우는 백신이 어딨습니까?
v3는 요즘 잘 안 써서 모르겠지만 안 좋아졌다는 평이 좀 많이 보임.
나는 mse(마소 백신) 쓰는데 별다른 이유는 없고 당시 윈7 64bit를 지원하는 제대로 된 백신들 중에서 마음에 드는게 저거였습니다.
2. 초보자는 레지 건드리지 말 것을 추천
레지가 어디 쓰이는지는 설명하려면 귀찮고 사실 나도 확실하게는 모르지만
레지는 프로그램 구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경우가 있고
이걸 잘못 지우면 확 날아갑니다 ㅡㅡ;;
레지 삭제는 딱히 프로그램 추천할만한건 없고 암거나 쓰시고
다만 프로그램에서 레지 중요도를 표시해주는 프로그램이어야 됩니다
중요도 낮은 거는 바로가기 아이콘 경로같은 아주 쓰잘데기 없는거니까 걍 지워도 되는데
중요도 높은건 지웠다간 훅 가니까....
백업해놓고 하면 그나마 조금 안전
3. 구글에서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진짜 엔간한 잡스러운건 구글에서 검색하면 훅 나옵니다
그 fasoo drm인가
검색하니까 한방에 뜨던데요
뭐 검색해보고 했는데도 안되었으면 난감하지만...
4. 컴퓨터 사용에 제일 중요한건 사용습관
어차피 백신 프로그램이나 백도어, 트로이같은거는요
내가 쓰는 컴퓨터가 해킹했을때 엄청난 가치가 있을 경우에나 막 프로그램 깔고 그러면서 조심해야 되는거구요
일반 컴퓨터는 그럴 필요까진 없습니다
보통 해킹 초보들은 따로 마련된 서버에서 연습을 하고
중급 이상은 진짜 악의를 가진 놈들이 아닌 이상 특정 타켓으로 공격하지는 않고
건드려보고 만만하면 어택 정도라서...
(그래서 인지도는 조금 있었으나 방어벽이 허술했던 창도가 해킹당한것 ㅋ)
그러니 일반 사용자는 사용 습관만 제대로 길들여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이나 방화벽은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한 보험일 뿐입니다
동생 컴퓨터 사용 습관을 개선시키거나
그냥 느린 컴퓨터 쓰세요
아니면 액정 빨랑 바꾸시고 ㅋㅋㅋㅋㅋ
사실 조심스럽게만 쓴다면 이메일 정도만 자동검색하고 나머진 끄면 되지 싶고. 항상 커놓으면 인터넷이나 컴퓨터 전체가 느려질수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