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94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1월 달 부터 분당에서 소설 쓰기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

비록 8주 밖에 안되는 강의이고 이제 두번 밖에 수업이 남지 않았지만,

저 나름대로는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일단, 이 세상엔 글 잘 쓰는 사람이 무척이나 많더군요.

물론 창도에서도 훌륭하신 분들이 많지만, 직접 만나뵙고 그들의 글을 본다는 건 감회가 사뭇 달랐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그런 그들의 글도 다른 분들의 가차없는 합평에 까이는 모습을 보면서

아, 저들이 저러한데 내 글은 정말 갈길이 첩첩산중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렇게 부족하기만 한 제 글을 좀더 나은 방향으로 체질개선하기 위해서 저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비판과 지적을 들으며 제 글의 나아갈 방향을 대략 알게 된 것 같기도 합니다.

 

첫째로, 많이 생각하기.

혹은 다상량이라고 하죠. 사실 저는 누군가가 글쓰기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면 

뭐래, 당연히 소설을 쓰려면 많이 생각해야 하는 거 아냐? 라며 별 의미없이 넘어갔었고

평소에 잡생각이나 공상같은 건 많이 하니까 걱정없다라고도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아니였습니다. 소설의 완성도와 글의 리얼리티를 위해서는

제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더 깊은 차원까지 내려가는 사유가 필요하더군요.

생각이 부족하면 설정이 빈약해지고, 그런 글은 독자에게 '말도 안되는 이야기'가 되어 버림받을 뿐입니다.

또한, 사회의 단면을 글속에 녹여내기 위해서는 상징적인 단어나 글 전체적 구조를 이용해야 할 터인데

이런 내공을 갖추려면 또한 많은 생각을 해야 하더라구요.

그냥 막 쏟아낸 글이 어쩌다보니 상징성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글을 쓰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그 하나하나를 작가의 의도안에서 통제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세상에서 누구나 할 수 있는게 글쓰기겠지만,

제대로 하려고 하면 무척이나 높은 벽이 존재하는 것이 또 글쓰기 인 것 같습니다.

 

둘째는, 사람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기입니다.

예전에 고등학교때 배운 소설의 3요소를 기억하고 계신지요.

인물, 사건, 배경

네, 그렇습니다. 인물, 즉 사람이 소설의 3요소 중에 한 자리를 떡하니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다른 두 요소, 사건과 배경은 소설을 쓰기 전 사전 설정을 통해 대부분 이미 정해져 버리죠.

그리고 그러한 사건과 배경을 만드는 작업은 재밌기도 하고 비교적 쉽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물은 어떻습니까. 여기에 저의 짦은 식견을 담아보자면

다른 두 요소와는 다르게 인물은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채워나가는

소설쓰기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시말해, 인물이 사건과 배경에 대해 말하고,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글을 써내려갈 수 있게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인물에 대해 저는 아무것도 모르고 글을 썼었구나 하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피상적으로, 혹은 관념적으로, 아니면 상투적으로 저는 인물을 그려내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인물에 대한 이해, 통찰력을 길러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발동했죠.

그 결과, 전 이제 부터라도 각종 심리학 책들을 읽어보려 합니다.

특히 이상 심리에 관한 책과, 사랑과 연애 심리에 관한 책을를 읽어봐야 겠어요.

그 두 부분은 제가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인지라. 좀 더 많은 탐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셋째는 분량 조절입니다.

제가 끈기와 꾸준함이 없다보니

하나의 글을 오래 쓰다보면 정신적 피로감 때문인지 정작 중요한 부분에서 제대로

이야기의 분량을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그 결과, 중요하지 않은 부분의 분량은 많아지는데

중요한 부분에선 분량이 부족한 이상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더라 이겁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고치면 좋을까요? 많은 고민과 생각을 했습니다.

그 결과, 저에게는 한번에 따 써내려가려는 조급함을 버리고 천천히 글을 써내려갈 수 있는 내구력,

한마디로 단거리 선수가 아닌 마라톤 선수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42.125km의 완주를 위해서는 초반에 무작정 앞으로 달려나갔다가는 글을 완성하지 못하게 되니까요.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개인적인 문제인데, 바로 접속사입니다. 이 글에서도 아마 저도 모르게 접속사가 남발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만

저는 습관적으로 필요하지도 않은 접속사를 사용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접속사가 많으면 글이 산만해지고 읽는 사람에게도 불편함을 주죠. 고쳐나가야 할 부분입니다.

 

아무튼, 이번 수업을 들으면서 정말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부족한 것 투성인 제 글이지만, 위에서 말했던 부분들을 개선 할 수 있다면

저도 좀 더 나아진 글을 쓸 수 있을까요?

제대로 하려고 하면 할 수록 점점 더 어렵게 느껴지기만 하는 것이

글쓰기고 소설 쓰기인 것 같습니다. 아아. 어렵고도 어려운 소설쓰기여..

?
  • profile
    코드 2011.02.12 22:12

    와우 이렇게 좋은 팁을 무료로 공유하시는군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듯.

  • profile
    시우처럼 2011.02.12 23:12

    도움이 되신다면야 저야 기쁘죠. ^^ㅋ

  • ?
    乾天HaNeuL 2011.02.13 01:23

    많이 생각하기. 전 어렸을 때부터 공상과 상상이 직업이 된 지라.... 무진장 생각합니다. 제 머리는 언제나 풀가동. 덕분에 항상 피곤합니다.(응?)

    사람 통찰력. 이건 언제나 여실히 필요하다는 걸 느꼈음. ㅇ_ㅇ; 스쳐 지나가는 인연도 귀중하게 생각하는 게 참으로 중요한 듯. 요샌 간혹 좀 더 생각해 보는 습관을 길러보려고....

    분량..... 어떤 사람은 하루에 정해진 분량만큼 쓰는 경우가 있고, 어떤 사람은 아닌 경우도 있고.... ㅡ.ㅡ;;

    어떤 사람은 단 하루 만에 분량 반을 써버린 적도 있다고 합니다. 저로 말하자면 한꺼번에 다량의 글을 뽑아내는 류에 속하져.... 어렸을 때부터 논술, 논설문에 연설문 비스무리한 것들을 써버릇해서, 이야기가 서론, 본론, 결론으로 딱딱 나눠지는 타입이.... 됩니다. 이건 어떻게 보면 중요 포인트에 많은 글을 투자한다는 좋은 면이... ㅡ,.ㅡ; 뭐... 습관이니까.


    마지막으로 접속사!! 저도 몇 년 전에 느꼈던 것으로 현재는 최대한 접속사를 안 쓰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합니다. 흐히히히히~ 어렸을 때부터 접속사가 많다고 지적 받았거든요. 뭐 도움이 되었졍~ ㅋ

  • profile
    시우처럼 2011.02.13 17:59

    건천님이야, 워낙 글 잘 쓰시니까요.

    매번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 ?
    The위험 2011.02.13 01:33

    솔직히 말하자면 자기보다 뛰어난 사람은 세상에 넘쳐나겠죠

    그런데 거기서 포기하면 좋은글을 쓸수있는 기회도 없어지는 거니까

    일단 많이 써봐야 할듯하네요

  • profile
    시우처럼 2011.02.13 18:00

    네,

    무엇보다도 용기를 내서 많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
    닭느님 2011.02.13 02:41

    많이 읽는 게 짱입니다.

    농담아님.

    생각보다 읽기를 먼저 하세요.

  • profile
    시우처럼 2011.02.13 18:03

    많이 읽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많이 알아야 그걸 글 속에 풀어낼 수도 있고

    좋은 작품을 읽으면서 많이 도움을 받을 수도 있을테니까요.

  • profile
    idtptkd 2011.02.13 11:32

    전에 듣는다는 그 강의를 잘 듣고 계시군요. 이렇게 노력하시니 더 좋은 글이 나올 겁니다. 저도 이제 좀 소설 쓸 때 생각이라는 걸 좀 하고 해야겠네요. 단순히 취미라고 생각해서 저 좋은 대로만 좀 썼거든요.

  • profile
    시우처럼 2011.02.13 18:05

    자기가 쓰고 싶은 걸 써야하는 건 맞는 것 같아요.

    대신에, 다른 사람이 납득 할 수 있게금 좀 더 다듬는 노력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5344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7046 1
4803 외 To the 박 아싸사랑 2011.02.12 710 0
4802 그러니까 스킬레벨한계치가 있어야 한다니깐요. 황제폐하 2011.02.12 728 0
4801 hd5870같은 하이엔드 그래픽카드가 342개나 불타 없어졌다고 하네요 2 황제폐하 2011.02.12 714 0
4800 천무님 초요님 조정좀하셔야할듯 3 여노 2011.02.12 604 0
» 소설 쓰기 강좌가 나에게 미친 정신적 데미지는? 10 시우처럼 2011.02.12 1194 0
4798 데드스페이스2 한글패치가 나왔슴다 2 루넨스 2011.02.12 1047 0
4797 릴소 올렸음. 1 乾天HaNeuL 2011.02.12 712 0
4796 창도올만이네 1 완폐남™ 2011.02.12 778 0
4795 초요님한테 1519377 데미지 먹음 1 코드 2011.02.12 590 0
4794 씁쓸한 광고 1 file scv35000 2011.02.12 1186 0
4793 애인이 원한다면... 3 file scv35000 2011.02.12 1234 1
4792 창작글 게시판으로 지금 당장 롸잇나우 뱀신의교주 2011.02.12 766 0
4791 엔딩봣듬 1 디아즈 2011.02.12 586 0
4790 헐 창도 리뉴얼했네요 ;ㅅ; 2 시량 2011.02.12 753 0
4789 웃기지는 않지만 부러워서 5 시우처럼 2011.02.11 1175 0
4788 한국 입갤했슴다ㅎ 금목걸이 2011.02.11 662 0
4787 음악동 감상 게시판! 2 파스텔파티 2011.02.11 1099 0
4786 창조도시는 원피스다. 3 뱀신의교주 2011.02.11 697 0
4785 현상금 너프좀해주세요 1 A. 미스릴 2011.02.11 883 0
4784 ㅇㅇㅎ엏잏ㅇ헝허ㅠㅠ 5 《나크》 2011.02.11 625 0
Board Pagination Prev 1 ...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 1178 Next
/ 1178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