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범위

by SinJ-★ posted Jan 25,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시를 그의 사촌동생 윤형주가 노래로 만들려다 포기한 이유가 윤영춘 선생께서 '시도 노래다'라고 일갈하셨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는 이미 익히 들어 본 이야기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가지 고민을 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어디까지 시라고 해야 옳을까?

 동방신기를 노래를 써서 냈더니 덜컥 교내 문예대회에서 당선이 되었다던 우스개소리는 비웃을 만한 이야기가 아니다. 전문 작사가가 붙어서 만든 가사가 고등학교급에서 등수에 오르는 건 당연한 이치라 할 수 있다. 다만 그런 생각을 한 고교생의 재치에 감탄할 만하다. 이는 근래에 나도는 가요도 충분히 시라고 부를 만하다는 말이다.

 이제 우리가 아는 시라는 울타리는 굉장히 넓어졌다. 이것은 국어 교과서에서 딱딱하게 굳어있던 비석처럼 남아있었으나, 지금 아이유의 좋은날도 한 편의 시에 속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한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우리, 당신, 여러분이 쓰는 그 한 줄 혹은 서너줄의 메모는 '시'일까 아닐까?

 나의 잣대를 들이민다면 그것은 시가 아니다. 왜냐하면 개인적으로 나는 공무도하가나 구지가를 시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미불명의 말들이 쑥쑥 튀어나오는데 노래처럼 불렸으니 시라니. '얼레리 꼴레리~ 누구누구는 누구누구랑 사귄대요~' 한 이백년 지나면 이것도 고전문학이라고 연구될 지도 모를 일이다. 알지 못함에서 비롯되는 오해는 핵무기만큼이나 위험하다. 공무도하가에서 강 너머로 사라지는 놈이 돈 떼먹고 튀는 건지 임인지 구분도 안가는데, 구지가에서 물 퐁당거리면서 왕을 내놓으라는 건지 애들이 술래잡기 하는데 술래를 내놓으라는건지. 이상은 이상이상하다 만큼이나 이상한 해석이다. 산을 오를 수록 발을 디딜 수 있는 땅이 좁아지듯이 공부를 하면 할 수록 시의 범위는 좁아진다. 물론 이 범위는 지극히 개인적인 범주라 할 수 있겠으나 애석하게도 우리들이 쓰고 싶은 '시'는 이 개인적인 범위에 들고 싶어한다.

 요즘에는 어느 기성 작가의 '시는 천재나 쓸 법한 거' 하는 소리가 불쑥불쑥 가슴에 스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