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컨셉 기획이란?
 컨셉 기획을 하는 시점은 아직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무슨 게임을 만들지 정하고 기획하는 단계입니다. 
디테일한 기획 문서는 필요 없고 PPT로 작성하면 충분합니다.
컨셉 기획 문서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어떤 게임을 만들 것인지' 를 남에게 이해시키는 것입니다.
 
그럼 무슨 게임을 만들 것인가?
 당연히 여기에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게임 기획자는 자기가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고 싶어하겠죠. 특히 학교 프로젝트에선 더 그럴테고요. 여기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발상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좋은 게임을 구상하는 법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1. 스토리부터 생각하지 마라
 
 게임 기획은 메커니즘이 우선시되어야 합니다. 스토리 먼저 생각해서는 좋은 게임이 나오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게임을 구상할 때 '어떻게 조작해서 풀어나가는 게임인가?' 가 가장 첫 번째 고민이 되어야 합니다. 
 
게임은 어디까지나 플레이 경험을 소비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소설이나 영화와 같은 이야기 중심 매체와 동일한 발상법으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 살아남은 주인공이 생존하는 게임"
 
"귀신들린 저택에 홀로 남겨진 소녀가 탈출하는 게임"
 
 
게임을 한 줄로 표현했을 때 이런 식이면 어떤 게임인지 유추해내기가 힘듭니다.
게임을 플레이 하는 방법, 어떻게(How)에 관한 정보가 하나도 담겨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게임을 구상할 때 이야기가 아니라 메커니즘, 게임 시스템을 먼저 떠올려야 합니다.
 
 
2. 메커니즘과 메커니즘을 섞지 마라
 
 다른 게임의 메커니즘을 서로 섞으면 얼핏 생각하기에 참신하면서 재밌을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개발하고 알파빌드 정도 나왔을 때 플레이해보면 재미가 없습니다. 그다지 새로울 것도 없고요.
 
무엇보다 메커니즘 자체를 섞어서 변형시키면 메커니즘 자체가 생소해져 버리는 탓이 큽니다. 
이미 검증된 재미를 가지고 있는 메커니즘의 두 게임이라도 섞어버리는 순간, 시너지는 커녕 본래의 재미도 발휘하지 못합니다. 
 
흔히들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장르로 꼽는 <퍼즐앤드래곤>도 잘 생각해보면 메커니즘은 퍼즐 게임의 그것과 같습니다. 단지 퍼즐로 뭔가 다른 걸 할 수 있는 수단, 즉 게임 flow에 RPG적 요소를 잘 섞어내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죠.
메커니즘과 메커니즘을 섞은 케이스는 아닙니다. 대게 성공한 하이브리드 장르 게임은 이런 식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게임을 기획할 때 두 게임을 섞는 것이 아니라, 
기존 장르에서 검증된 재미를 보여준 메커니즘은 유지하되 '변형'을 시켜주는 것이 옳습니다.
 
"벽돌깨기 + 플랫포머? 벽돌깨기로 길을 만들고, 플랫포머로 전환되서 진행하면 재밌을 것 같은데?"
이런 건 실패한 기획입니다. (필자 경험)
 
3. 게임 메커니즘의 앞뒤를 바꾸거나 추가하기, 그렇게 바뀐 앞뒤와 어울리는 게임 시스템을 구상하기
 
 완전히 새로운 게임 메커니즘을 창조해내기란 힘든 일입니다. <2048>, <테트리스>와 같은 완성도 있는 게임 룰을 백지  상태에서 떠올리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변형을 해야할까요? 모든 게임개발 프로젝트는 게임을 구상할 때 레퍼런스를 참고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다른 게임에서 모티브를 얻어 개발합니다. 모짜르트 마냥 갑자기 악상이 떠올라서 만들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불현듯 영감이 떠올라 기획을 했다고 해도, 평소에 다른 콘텐츠들을 접해왔던 기억들이 정제되어 얻어진 산물입니다. 
 
이 이야기는 시장성을 의식해서 유행하는 게임 메커니즘을 답습하란 소리가 아닙니다.
최근 개발되는 거의 모든 게임에 레퍼런스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 대상은 천차만별입니다. 패미컴 고전 게임일 수도, 이미 장르 자체가 사멸되어 버린 게임일 수도 있습니다.
 
요점은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자기가 만들고자 하는 게임의 메커니즘을 정하고, 
그 후 단순히 레퍼런스의 카피캣이 아닌 다른 게임이라고 인식될 수 있도록 차별화를 꾀해야 합니다.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 
 
테트리스를 레퍼런스로 삼아 게임을 기획하려고 합니다.
 
평소에 테트리스에 스토리가 없어 밋밋하다고 생각해 스토리를 추가해주려고 합니다.
테트리스는 블록을 쌓는 게임이니 뭔가 돌을 쌓아 구조물을 만드는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이렇게 해서 판타지 중세 배경의 공성전을 게임 세계관으로 게임 스토리를 추가했습니다.
 
[주석1 : 여기서 포인트는 테트리스 -> 블록 -> 돌을 쌓는다 -> 공성전? 까지 기획하게 된 발상법에 있습니다. 게임 메커니즘과 게임의 이야기, 그래픽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살아남아라 개복치!> 처럼요.]
 
이렇게 스토리를 추가하니 점수 말고도 테트리스를 계속 해야하는 이유가 생겼습니다. 
 
[주석2 : 여기서는 스토리가 게임의 앞뒤를 추가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게임의 앞뒤를 추가하거나 바꿀 때 꼭 스토리로 해결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스토리를 일반적으로 게임에서 보상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좋은 앞뒤를 만들어주라는 말은 게임을 계속할 수 있는 당위성, 즉 동기부여와 보상체계를 만들어주라는 말과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픽과 스토리만 바꾸고 그대로 개발하기엔 그냥 테트리스 짝퉁같아 보입니다.
공성전이니까 블록만 쌓는 게 아니라 병사끼리 치고박고 싸우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블록을 제거하면 병사를 생성해 상대 진영에 보내는 시스템을 구상하려고 합니다.
 생성된 병사에 따라 다양한 효과가 있고...
 
하지만 이대로도 재미가 없을 것 같아 더 고민을 해보기로 합니다.
 
고민 끝에 이것저것 추가하니 테트리스에선 메커니즘만 빌려왔을 뿐 카피캣이란 소리는 안나올 것 같지만, 원형이 많이 훼손되서 과연 이게 재미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주석3 : 여기서 예시 든 '병사를 생성해서 상대 진영에 보내는 시스템'이 바뀐 앞뒤와 어울리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사의 효과가 뭔지 하나하나 정하는 건 콘텐츠의 영역이니 컨셉 기획 단계에선 굳이 디테일하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시를 들 수 있게 간단하게 몇 개 정도만 정하면 좋습니다.]
 
메커니즘을 보다 군더더기 없이 쳐낼 수 없을까 하는 의문이 남은채로 
 
더 이상 메커니즘이 아니라 전체적인 게임 흐름(flow)를 손보기로 합니다. 
스토리는 어떻게 매끄럽게 나올지,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음 스테이지는 어떻게 넘어갈지, 새로운 적과 보상은 언제 등장할지... 
 

 
 
저는 컨셉 기획을 할 때 보통 이런 식의 발상으로 진행하는 편입니다.
 
포인트는 레퍼런스가 된 게임의 메커니즘에서 얼만큼 잘라내고 얼만큼 유지할지, 
내 입맛대로 재단한 메커니즘이 혹시나 남들에게 생소하진 않을지, 혹은 너무 카피캣처럼 보이진 않을지. 
그 간극의 합의점을 절묘하게 판단하는 능력에 있습니다.   
 
 
 
4. 필자가 꼽는 기획이 잘 된 게임들
 
dd.png
 
<King of Thieves>
 
모바일. 일반적인 플랫포머 게임의 메커니즘은 유지하면서도 게임의 목표가 완전히 새롭다.
멀티플레이로 다른 유저의 던전에 칩입하여 보물을 빼앗을 수 있고
반대로 자신만의 던전을 설계하여 다른 플레이어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df.png

 

<살아남아라! 개복치!>
 
현실의 개복치가 다양한 이유로 잘 죽는다는 속성을 게임 메커니즘과 잘 버무렸음.
 
 
dff.png

 

<스와이프 벽돌깨기>
 
원작은 아타리의 고전게임 <break out>. 이후 브레이크 아웃을 개선한 taito의 <알카노이드>가 나왔었고
이에 영감받아 국내 개발자 monthly23이 개발하여 2015년 5월에 출시한 게임.
 
직관적이고 단순하면서도 묘한 중독이 있으며 모바일 플랫폼에도 잘 맞다.
원형인 브레이크 아웃은 동기화(실시간)게임이었는데 비동기화(턴제)방식으로 기획했다.
 
기본적으로 모바일 게임은 이동 중에 많이 플레이되고 본격적인 조작의 재미를 구현해내기 힘들기 때문에
비동기화 게임들이 잘 어울리며, 액션 따위의 동기화 장르 게임들은 자동전투로 이를 보충한다.
 
cvv.png

 

<Silly Sausage in Meat Land>
 
원형 메커니즘은 미끄러지는 얼음 퍼즐(포켓몬스터 골드의 얼음 동굴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거기에 꼬리물기 메커니즘도 조금 들어가고, 플랫포머 게임의 진행방식이나 레벨 디자인이 포함됐다.
주인공인 소시지 개 캐릭터를 스와이프 조작으로 허리를 늘려가면서 플레이한다.
캐릭터도 귀여워서 메커니즘과 잘 어울린다. 상업적으로도 성공.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63 게임기획! 일단 해보자! file 천무 2005.05.27 9752 40
62 멋진스토리 쓰기위한 되물음&결과예상의 중요성 3 천무 2005.05.27 8385 34
61 효과적 연출 시리즈 4 - 캐릭터 죽이기. 2 천무 2005.05.28 7520 28
60 나는 어디로 가야하나.. 2 천무 2007.12.04 5509 17
59 효과적 연출 시리즈 5 - 엑스트라 위치. 천무 2005.05.25 5032 17
58 효과적 연출 시리즈 1 - 각성하기/증원군 천무 2005.05.28 6803 17
57 게임의 주인공은 플레이어. 천무 2006.06.18 4969 16
56 덫붙임 연출 천무 2005.08.04 3800 16
55 효과적 연출 시리즈 2 - 배신자 1 천무 2005.06.20 5257 16
54 연출이란? 천무 2005.06.03 5197 14
53 보편적 상황에 따른 연출의 힘. 천무 2005.06.03 3694 13
52 게임 만들기 쌩바닥부터 시작해보자 -1- 기초편 4 file Vermond 2011.04.14 7287 12
51 게임 기획 개요 1 [기획자가 해야할 일] 2 Vermond 2008.01.18 5083 9
50 효과적 연출 시리즈 3 - 점프하기 천무 2005.05.28 5495 9
49 게임을 만들 때 양산성을 피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 8 서륜 2014.04.10 2371 8
48 인디게임팀에게 너무나도 중요한 저작권 이야기 9 1 MiDtics2 2013.01.16 3416 8
47 미니맵 시스템 넣을때 자주하는 실수. 1 file 천무 2006.01.24 5614 7
46 흔해빠진 게임을 만드는 것을 피하는 방법 5 RPG란무엇인가? 2015.11.15 1035 6
45 게임 기획 개요 3 [기획서 part 2 - 설정] 7 Vermond 2009.02.10 3802 6
44 게임 시나리오 입문 [3] 작성하기 - 전반부 3 Vermond 2008.06.02 4327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