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샤워의 시 '무한문답'에 대한 감상

by Yes-Man posted Jan 13,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무한문답

 

1: 검은 장막을 사이에 둔 채

대화를 하는게 무슨 의미오?

 

2: 검은 것은 검게 물들어 보이지 않을 것이고

남은 무언가가 떠오르기 때문이오.

 

1: 아니라오. 그것은 자네가 원하는 것이 결코 아니라오.

검은 장막을 치우지 않는 이상

 

당신이 바라는 빛은 보이지 않을 것이오.

이 장막은 당신의 모습마저 왜곡할 것이오.

 

2: 그것이야말로 거짓이오, 당신은 갈비뼈 속에

심장이 진정으로 무슨색깔인지 알아낼 수 없어서

 

그것을 그저 있는 그대로 붉다고 믿어버리고

오히려 사실을 보는 안경을 집어던진 것이오.

 

아무리 빛을 밝혀도 그대가 시각에만 의존한다면

장막을 치우나 안치우나 붉은색일 뿐

 

결코 무지개를 볼 수 없을 것이오.

 

1: 웃기는 소리마시오. 가려진 진실을 어찌 진실이라고

할 수 있소. 그것은 마치 아무도 없는 세상에서

 

자신 홀로 자신을 인식하고 살아간다 말이라오.

인간이라는 단어 뜻을 망각한 채

 

세상안에서 또 하나의 세상을 만들고

그안에서 꿈을 꾸는거나 마찬가지오!

 

2: 그대야말로 원시 근시 난시가 뒤섞인채

동공이 열린채 꿈을 꾸는게 아니오?

 

눈앞에 있는 진실을 그저 나누기만 한다면

그대 또한 백일몽에 지나지 않소이다!

 

 

*1과 2는 시의 본문이 아니며 본인의 편의상  두 시의 화자를 나눈 것이다. 

 

 

-사실 다른 사람의 시를 감상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마추어의 시의 경우 따로 시에 대한 해석이 없기 때문에 막연하게 추측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시의 감상 글을 남기기에 앞서 내 주관적 시선이 많이 들어간다는 것에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이 시에서는 두 사람이 대화를 하고 있다. 한 사람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진실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검은 장막을 사이에 두지 않는 대화이며 여과가 없음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또 다른 한사람은 직관이 아닌 내면으로부터의 진실을 주장하고 있다. 그것은 모두를 지워버리고 남은 것이며 유일한 것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진실이란 무엇인가. 주관적 견해로는 진실은 없다는 것이다. 이 시를 쓴 시인은 결론을 ‘없다.’ 라고 내렸다. 이 없다는 말이 나와 같은 진실이 없다는 것인지, 진실의 정의에 대한 정답이 없다는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진실이란 무엇인가. 거짓 없는 사실인가? 살아가면서 우리가 믿어왔던 진실은 과연 우리가 생각하는 거짓 없는 사실인가? 진실은 없다. 내가 이 사물을 보고 색을 느꼈을 때 그것이 과연 내가 느낀 것과 같은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그저 다수의 사람이 같게 느낀다고 그것에 거짓이 없는가? 혹여 그것에 거짓이 없다고 해도 그것이 나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해졌을 때 내에게 정보를 얻은 사람은 그 정보에 거짓이 없는지 알 수 없다. 단지 인간 간에 신뢰만 있을 뿐이다.

 

 

사실 두 사람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전자의 사람은 여과 없는 진실을 말하고 있으며 후자는 여과함으로서의 진실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둘 모두 거짓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전자의 사람은 여과함으로서 왜곡될 것을 걱정하며 후자의 사람은 여과함으로서 왜곡을 없애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결국 방법론의 논쟁일 뿐 근본적인 것은 같은 것이다.

 

반대로 근본적으로 내 생각은 다르다. 사람이 보고 듣고 맡고 느끼는 것은 결국 수용기관에 의해 왜곡 되어 들어온다. 진실이란 무엇인가? 단지 거짓이 없는 것이 진실인가?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것은 진실인가? 아무도 알 수 없다. 진실은 없다. 그저 전해져 생기는 단순한 것일 뿐 그것을 진실로 인정하느냐는 개인의 감각기관에 대한, 서로에 대한 신뢰의 문제일 뿐.

 

진실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