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기타
2005.10.08 22:41

이번에는 올라갈까 ;;

조회 수 28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 쌩입니다.

이번에 강좌비슷한 형식으로 연재글을 올리려고 하는데요 ..

제목대로 코드(Chord) 의 활용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를 한번 해볼까 합니다.

많은분들이 이미 알고계시는 기본적인 내용일수도 있지만 필요하신분들도 계시다고 보고 올릴게요 ..


■ 강좌에 앞서 ..


코드는 화음이라는 뜻이죠 . 학창시절에 배웠던 으뜸화음 딸림화음 어쩌고 저쩌고 하는 그내용이랑

크게 다른것은 없습니다. 그만큼 기본적인 내용인데요 ..

작곡이나 편곡을 할때 기본적으로 체득되어 있어야 하는 스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든지 기본은 별것아닌것같지만 기본이 없는 응용이란 있을수 없죠


요즘은 컴퓨터가 좋아져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쉽게 음악을 만들수 있습니다.

(저도 그 혜택을 졸라게 누리고 있는 세대이긴 하지만 ..ㅋㅋ)

하지만 편하게 할수 있는만큼 오히려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좋지않은 영향을 받을수도

있는것 같더라구요 .. 눈앞의 것에 사로잡히기 쉽다는 말입니다.


"내가 시퀀서를 좀더 마스터하면 훨씬더 작곡을 잘할수 있을텐데 "

"좀더 비싸고 좋은 악기를 쓰면 더 좋은 음악을 만들수 있을텐데 "


물론 틀린 말은 아니지만 자칫 잘못하면 주객이 전도된 생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컴퓨터로 쉽게 작업을 하여 결과물을 만들수 있지만 역으로 음악이 컴퓨터에 얽매여 버린다고 할까요 ..

음악적인 스킬은 전혀 생각을 하지 않은채 툴과 악기의 사용법에만 매달리다가 슬럼프에

빠지는 친구들을 저는 여럿 봤습니다(제 이야기일까나 ..?ㅋㅋ) .

엄밀히 말하면 미디,녹음,믹싱 같은것은 곡을 표현하는 도구이죠 . 근본적으로 좋은 곡을

만들기 위해서는 음악적인 감성과 스킬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요즘은 시대가 시대인 만큼 작곡자가 작편곡은 물론이고 다른 기술적인 부분도 웬만큼 잘해야

경쟁력이 있다고 합니다. 오선지와 통기타 하나들고 노래를 만들던 때는 아니니까요

그만큼 좋은 퀄리티를 위한 공부도 중요하지만~ 가장 본질적인 것이 어디 있는가.. 는 항상 염두해두고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정말 주옥같은 명곡들은 노래방반주로 들어도 좋은 법이죠 ..

음악적인 감성과 스킬은 연습을 많이 해야 발전하는것 같습니다.  연주는 연습을 숏나게 하는거고

작곡은 센스로 하는거다 라는 말도 있지만 말도안되는 말이죠 ㅋㅋ (?)

쪼금 감각있는 친구들은 그냥 첨부터 곧잘 곡을 만듭니다만 꾸준한 연습과 새로운것에 대한

연구가 없으면 그냥 제 밑천 파먹는것밖에 안됩니다.. 금방 식상해지고 .. 한마디로 수명이 짧은거죠.


음악을 밥줄로하든 취미로하든 열정있는 사람이라면 오래도록 한결같이 즐기고 싶을겁니다.

평생 살아갈 자기만의 음악세계를  탄탄히 하기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초가 중요한것 같아요~

명곡은 절대 천재의 머리에서 번뜩 거리면서 나오지 않습니다. 기본에서 출발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의 결실이죠 .

뭔가 말이 길어졌는데요 ..ㅎㅎ

강좌와 전혀 .. 무관한 ;;;;-_- ;; 죄송합니다 ㅎㅎ

강좌를 정리하기전에 평소 생각해오던 잡다한 생각들을 한번 적어봤어요 .. 어느정도 공감가는 부분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닌가 ? ㅋㅋ )

요지는 '실력있는 고수가 되기 위해선 기초를 튼튼히' 라고 할수 있겠네요 ^^
                                                   ~~~
제 강좌는 정말 기초적인 내용을 위주로 쓸 생각입니다 (억지로 연관짓는 중? ㅎㅎ)
                     ~~~

코드의 활용에 대한 내용이지만 음악통론적인 내용도 포함될것같구요 ..

대충 구상하고 있는 내용들입니다 (목차는 바뀔수 있습니다)

스펠은 믿지마세요 -_-;; 틀릴지도 모릅니다..



1. 코드톤 (Chord Tone) - 코드의 구성음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2. 다이아토닉 스케일 코드 (Diatonic Scale Chord) - 음계상의 코드

3. 도미넌트 모션 (Dominat Motion)

4. 투파이브원

5. 잡다한 대리코드들


세부적인 설명보다는 실용적이고 직관적으로 쓸 계획이구요 .. 더 자세한 내용은

책한권 사셔서 보시면 아주 잘~~나와 있을지도 ~~ 모릅니다 ㅋㅋ(며느리도 모른다는 자세한내용~)

전 제가 공부하고 이해했던대로 강좌를 쓰겠습니다 .

그럼 조만간 1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PS .아까 이 비슷한 글을 적었다가 날려먹어서 밤이 되어서야 다시 올리네요 ..ㅋㅋ

     이번에는 꼭 저장해놓고 눌러야지 -_-;;;;;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언어/기타 인터넷 프로그래밍 강의 시간에 실습했던 것. 아란 2006.09.17 951
823 언어/기타 인벤토리창을 따로 만드는건.... 야미토츠바사 2005.09.12 699
822 언어/기타 인벤토리 시스템 [내용 또 수정] 1 file 비밀소년 2006.07.30 2060
821 언어/기타 인공지능 동료를 만들어보자!! 다크세이버™ 2006.06.07 1240
820 언어/기타 이해하기 어려운 맵배치 강좌 - 숲 - 에그。 2006.08.03 1077
819 언어/기타 이해하기 어려운 맵배치 강좌 - 던젼 - 1 에그。 2007.01.14 882
818 언어/기타 이해 어려운 맵배치 강좌 -숲편- 설정중.. 에그。 2006.07.30 416
817 RPG Maker 이클립스 강좌 1 AVD생성 밑 실행 이클립스 2014.10.07 879
816 언어/기타 이벤트를 이용, 장애물을 포함한 적과의 거리계산[중급이상추천] file masa 2006.12.14 1291
815 RPG Maker 이벤트로 제작하는 턴알전투 예제 (ETB) 덩키동크 2005.11.29 872
814 언어/기타 이벤트 처리에서의 속도 Yggdrasil 2006.07.27 571
813 언어/기타 이번에도 잡담입니다만-_-;; 아란 2007.01.01 1014
» 언어/기타 이번에는 올라갈까 ;; 2005.10.08 287
811 언어/기타 이번에는 오프닝을! 장아찌 2005.05.20 2589
810 RPG Maker 이미지표시로 링메뉴 만들기. 린쌍 2005.11.12 625
809 언어/기타 이론강의 4. 시나리오 작성 - 설정 Vermond 2007.01.26 482
808 언어/기타 이론강의 4. 시나리오 작성 - 내용 Vermond 2007.03.01 518
807 언어/기타 이론강의 3. 제작에 앞서 해야 될 것들 Vermond 2006.12.09 428
806 언어/기타 이론강의 2.Vnap으로 제작가능한 장르 Vermond 2006.12.09 562
805 언어/기타 이론강의 1. Vnap이란? Vermond 2006.12.09 54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1 Next
/ 51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