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기타

키입력의 처리란 무엇인가?

by posted Jul 10,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알피지 만들기에서의 이벤트 내용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스위치와 변수, 그리고 조건분기가 가장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따지고 보면 '키 입력의 처리' 역시 변수에 부속된 명령인 셈이지요.

 

일단 키 입력 처리를 하면 키를 눌렀을 때 변수가 대입된다는 것을 알아둡시다.

 

즉, , , 키 입력의 처리를 해 놓으면 (자동으로)아래와 같은 일이 벌어진답니다(?)

-----------------------------------------------------------------------

→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3의 값이 대입됩니다.

 

←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2의 값이 대입됩니다.

 

↑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4의 값이 대입됩니다.

 

↓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1의 값이 대입됩니다.

 

결정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5의 값이 대입됩니다.

 

취소키를 눌렀을 때: 변수에 6의 값이 대입됩니다.

 

숫자키[0~9]를 눌렀을 때: 각각 10~19의 값이 대입됩니다.

 

기타키[+ - * / .]를 눌렀을 때: 각각 20~24의 값이 대입됩니다.

-----------------------------------------------------------------------

중요한 것은 체크를 한 키들만 변수값이 대입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결정키만 체크했다면, 다른키는 백날 눌러봐야 변수값이 대입 안 됩니다.-_-

-----------------------------------------------------------------------

그럼(?) 변수 값이 대입되고나서 어디다 써먹느냐?

변수와 조건 분기를 좀 쓰실 수 있는 분은 대강 감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군요;;

 

음... 그러니까

'Enter(결정키)를 눌렀을 때 주인공이 칼을 휘두르는 모습을 취한다'라는 명령은

 

플레이어가 Enter를 누른다. -> 변수에 5가 대입된다. -> 조건 분기가 변수가 5를 대입한 것을 인식한다. -> 조건 분기가 칼을 휘두르는 모습으로 주인공을 바꿔놓는다.

-------------

뭐 이런 식입니다.

간단하게 키의 입력 -> 변수 값 대입 -> 조건분기에 의한 명령작동

이거죠.. 네.-_-;;

-----------------------------------------------------------------------

위의 내용을 완전 이해하셨다면 키 입력 처리에 대해서 80%정도는 알게 된 겁니다.

그럼, 나머지 20%인 키 입력 처리의 옵션에 대해서 설명해봅시다.

 

옵션에 보면,

'키가 눌릴 때까지 대기'란 말이 있습니다.

말이 아주 애매합니다만은, 변수값을 대기시켜놓는다는 것입니다.

 

이 항목에 체크를 시켜놓고 결정키를 누르게 된다면 다른 키를 누르지 않는 이상 변수의 5라는 값은 유지됩니다.

 

그리고...

이 항목에 체크를 안 시켜놓고 결정키를 누르게 된다면 순간적으로 5의 값이 대입된 후에 다시 0의 값이됩니다.

 

옵션에서 '키가 눌릴 때까지 대기'를 체크하면 아래에

'키가 눌릴 때까지의 길이를 입력'이란 말이 있는데

 

'길이'가 사실은 시간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봅시다!

만약에 위의 항목에 체크를 한뒤에... 변수0002에 시간 값을 대입시키기로 작정(?)한다 합시다.

 

그렇다면!!!

플레이어가 Enter키를 누르고 10초 후에 다른 키를 눌렀다면, 변수0002에 10의 값이 대입됩니다.

-----------------------------------------------------------------------

키 입력의 처리에 대해서 이것 저것 써봤습니다만-_-;; 좀 어렵긴 하네요;

 

참고로 말하자면,

변수의 값이 0이 된다는 말은 (컴퓨터가) 플레이어가 키를 누르지 않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정리하자면,

①키 입력으로 얻어진 값들을 조건 분기를 이용해서 명령을 시키는 것

②'다른 키가 눌릴 때까지 대기'는 변수를 유지시킨다는 것

③키가 눌릴 때까지의 길이는 다른 키가 눌리기 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