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43 추천 수 1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훈련소에서 만난 동기 중 한명이 89년생이었는데 서울예대 극작과였습니다.


서울예대 극작과하면 좋은 곳이죠. 그 형 말로는 당시 경쟁율이 6명 뽑는데 300명정도 왔었다고 하니까


대충 50 대 1 정도군요. 훈련 참 힘들었지만 재밌었던 건 역시 동기들이랑 생활했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어쨌든 그 형은 순수문학을 하는 사람이었기에 저는 이것저것 많이 궁금 했습니다.


그래서 이야기도 많이 했구요.


우선 확실히 순수문학 하는 사람들은 자기들만에 자부심이 있습니다.


그 형 말로는 돈도 잘 못버는데 권위라도 있어야 하지 않겠냐더군요.


그 형이랑 지내다 보면 서울예대 들어가기 쉬운거 아니야? 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한가지 확실한건 그 형 머릿속에는 엄청난 량의 책들이 박혀있었습니다.


하루는 소설가 이야기를 하다가 김유정 소설가 이야기를 하게 됬습니다.


'봄봄', '동백꽃' 가은 작품이 대표적이죠.


그 형은 김유정 소설가를 엄청난 천재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동백꽃의 마지막 장면은 정말 좋다, 이야기도 재미있다. 라고 말하자


그렇기에 천재라고 하더군요.


대충 정리하자면 의미 있으면서도 재미있다는 것. 어떻게 보면 저는 장르문학 쪽에 서 있는 사람인데


둘의 공통점 중 하나는 역시 재미였습니다.


자, 이제 본론으로 가서 장르문학 하면 흔히들 흥미, 재미 위주의 소설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그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장르문학의 탄생은 순수문학 이후라는 겁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정의 할때 'post'의 뜻으로 몇가지로 분류하는 것 처럼


장르문학도 '그 이후', '뛰어 넘는' 등으로 해석하려고 합니다.


장르문학에서 흔히들 말하는 양산형 소설이라고 하는 것들이 탄생하는 원인은


저는 순수문학과 거리를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순수문학의 작품 들을 보면 정말 작가마다 각자의 개성이 확연히 들어납니다.


그 이유. 저는 지식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간단하게 말하면 독서량의 차이랄까.


서울 예대의 극작과 형의 말에 의하면 순수문학에서 인정 받기 위해서는


문학사에 기여 했다는 점을 꼽습니다. 즉, 발전에 대한 기여죠.


그것은 모방으로는 절대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 형 또한 아무개(기어이 안나지만) 소설가에게


스스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했지만, 분명 자기만의 특색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양산형 소설에 비춰보면 그 소설들을 쓰는 장르소설의 저자들은 거의 장르소설만 봤다는 겁니다.


물론 장르소설도 처음에는 특색 있는 글들도 꽤 있었을 겁니다.


그러나 현재는 거의 대부분이 양산형소설들입니다. 이걸 보고 자란 사람이


소설을 쓰면 당연히 양산형 소설들만 많이 봐왔기에 그에 영향을 받아 양산형 소설을 쓰게


되겠죠. 악순환입니다.


글이 줏대 없이 흘렀습니다만,


결론적으로 하고 싶은 말은 독서의 편식은 양산형 소설을 낳게 하는 원인이며,


장르문학 또한 순수문학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주제입니다.

?
  • profile
    윤주[尹主] 2011.06.28 03:59

     그렇군요 ㅎㅎ

     독서에 편식이 되도록 없어야 한다는 데에는 저도 동의해요. 많이, 다양하게 읽으면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합니다. 상당 수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하더군요.


     순수 문학의 장점은 예스맨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개성'에 있습니다. 흔히 생각하기에 장르 문학이 개성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오히려 순수 문학에 비하면 덜 개성적이지요. 순수문학이 상대적으로 도전적이고 진취적이기 때문에 종종, 장르 문학을 쓰려는 분들께도 좋은 자극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왜 순수 문학보다 장르 문학이 덜 개성적인가. 저는 그 이유를 독자에게서 찾고 싶습니다.


     독자인 대중은 대개 새로운 것보다는 익숙한 것을 선호합니다. 백남준 선생님의 설치 미술이 아무리 대단하다고 설명해 주어도 그것이 우리 눈에 익숙하지 않으면 대중은 거기에 습관적인 불쾌감을 내보입니다. 물건을 살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내용물이나 포장이 특이한 비누, 칫솔보다는 자신이 이미 써봐서 익숙한 비누, 칫솔을 사길 원하겠지요. 대중에게 어필하려면 익숙하고 친근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중에게 호소하는 장르 문학도 익숙하고 친근한 모습이 되어야 할 겁니다.


     문제는 여기에서 출발합니다. 대중을 목적으로 한 장르 문학이 개성적일 필요가 있을까요? 대중에 어필하는 한에서는 개성적이어야겠지요. 하지만 동시에 친근하고 익숙한 모습을 띄어야 하기도 합니다. 장르 문학의 '장르'가 바로 소설의 친근하고 익숙한 측면이라고 생각합니다. SF라고 말하면 흔히 기대하는 모습들이 있고, 판타지라고 한다면 흔히 머릿속에 떠올리는 대략적인 그림이 있듯이, 책을 고르는 독자들에게 '이 책을 읽으면 이런 내용들이 나오리라 기대할 수 있어'라고 미리 신호를 보내는 것이 장르 문학이겠지요. 흔히 '장르 문법'이라고 말하는 부분들, 뻔한 클리셰나 기본적인 설정들은 지켜지되, 그 한도 내에서 개성을 보이는 것이 장르 문학이 추구하는 모습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기왕에 것 라이트노벨 얘기도 쓰겠습니다. 라이트노벨이 뭐냐, 라는 것에 대해 많은 의견이 있었지만, 제가 결국 납득한 주장은 이것입니다. 라이트노벨이란 대중을 위한 장르문학이다.


     장르 문학 자체가 대중을 위한 것이긴 하지만, '장르 문법'에 충실한 결과 작가뿐 아니라 독자 역시 그러한 문법을 모르면 읽지 못하게 되도록 발전해 버렸습니다. 왜 판타지를 처음 읽는 사람에게 그토록 거부감이 큰 걸까요? SF소설은 어째서 그렇게 난해하고 복잡해 보이는 걸까요? 대중에게 친숙해 보이기 위한 장치였던 '문법'이 일종의 '불편한 개성'이 되어 버린 거지요.


     라이트노벨은 10대 후반, 20대 초반 사이 연령대를 대상으로 장르 문학에 접근하는 일종의 입문서 역할을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문법을 모르고도 장르 소설을 즐길 수 있도록 하자. 이러한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라이트노벨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합당할 듯 합니다. 그렇지 않고선 이 잡탕 장르를 통칭해 설명할 길이 없기 때문이죠. 장르의 역사 역시 이를 뒷받침하고요. 일본의 한 소설 연재 사이트에서 판타지, SF 등 장르 게시판을 하나로 합치면서 라이트노벨이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리게 된 게 라이트노벨의 시발점이라는 이야기가 위키피디아에 나옵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순수 문학을 읽어야 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 작가는 개성적일 필요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르 문학에서 작가의 개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위험하다. 독자는 낯설고 위협적으로 보이는 작가의 개성에 회피적인 반응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 정도로, 예스맨님 주장에 대해 어느 정도 보완을 하고 싶네요 ㅎㅎ

  • profile
    Yes-Man 2011.06.28 04:45

    개성... 제가 부족하기에 같은 스토리로 글을 써도 작가마다 다르다 정도로 밖에 설명을 못하겠습니다.


    아무튼 저는 고딩 때 언젠가부터 인정 받을 장르문학을 추구 해왔습니다.


    그것은 순수문학과 장르문학의 복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정말 어려운 일이지요.


    그 형에게는 정말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뭐 본인은 배울 점 없다고 하지만.


    한번은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황순원의 '소나기'가 왜 순수문학이냐라는 질문을 했는데


    장난식으로 아름답잖아라고 말했다가 제가 뭐라고 하자 자신도 그 경계를 잘 모르겠다더군요.


    장르와 순수의 경계를 말이죠. 물론 문학사에 기여라는 주장도 했습니다만.


    결론적으로 개인적으론 윤주님이나 다른 분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저는


    다른 방식으로 장르문학을 발전 시키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 profile
    윤주[尹主] 2011.06.28 04:38

     머랄까, 정도의 차이다 싶긴 합니다만...


     제가 공부가 많이 부족해서 확실하게 말할 순 없겠습니다만,

     개성이라고 하면 주제나 소재 및 문체 등을 선정하는 개성을 주로 들지 않나요? 예스맨님께서 이야기하신 개성도 그러한 개성을 말씀하셨다고 저는 생각했거든요;


     괴팍하거나 거부감을 줄 수 있는 개성에 생각이 미친 것도 그 연장선에서였어요. 흔히 말하는 보이스 러브 계통 작품같은 경우, 남자끼리의 사랑에 대해 다루잖아요? 가끔은 상당히 과격하게 표현하기도 하는 걸로 압니다만;

     그러한 경우, 어떤 사람은 BL에 대해 혐오감을 갖지만, 어떤 사람은 거기에 열광하기도 하겠죠. 또 그 표현 수위에 따라서 수용 의사를 달리 표현하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이걸 가지고 조금 거칠게 표현하자면 이렇습니다.

     순수 문학이라면 전략적으로 BL 소재를 이용해 혐오감을 이끌어내는 것이 허락됩니다. 순수 문학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성에는 제약이 별로 없달까요.

     하지만 장르 문학에서라면, 자신의 독자들이 혐오감을 느낄 정도로 BL 소재를 이용하는 건 안 될 겁니다. 작가가 발휘할 수 있는 개성에 제약이 있는 거죠.

     소설이 의미 - 재미로 구성된다고 한다면, 장르 문학의 이러한 제약은 의미 선정에 있어서도, 재미를 꾸미는 데 있어서도 어느 정도 작용하리라 생각합니다. 그게 어디까지냐는 모르겠지만요;

     어쩌면 그냥 이 모든 게 제가 딴소리를 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죠. 예스맨님 의도와는 전혀 관계없이요;;


      장르소설이라면 차라리 재미를 집중해 추구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독자들을 웃고 울리고, 감동을 주고 공감을 주는 방법을 연구하고 정서적으로 그들과 함께 하는 편이 의미를 추구하고 집어넣으려 하는 것보다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각본 없는 드라마란 말이 존재하는 것처럼요.

     정말 그들이 하고 싶은 얘기, 듣고 싶은 얘기를 찾아서 하다보면, 그 속에서 절로 인류 보편적인 의미가 생성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작가의 의도, 가 정말 작가가 설계한 건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잖아요?

  • profile
    Yes-Man 2011.06.28 04:10

    윤주님이 생각하시는 개성과 제가 말하는 개성과는 조금 다르군요.


    저는 사실 장르문학에 서서 순수문학을 지향했습니다.


    재미는 기본이고 의미까지 있는 소설을 지향한거죠.


    하지만 서울예대 형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순수문학에 서서 장르문학을 지향하는 것이,


    의미는 기본이고 재미까지 있는 소설을 지향하는 것이


    좀 더 발전하는데 쉽고 제가 지향하는 것에 더욱 맞다고 생각하게 됬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예전부터 장르문학에 가깝지만


    저는 고등학교 때부터 순수문학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잘났다는 것이 아니고 순수문학도 충분히 매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쨌거나 여기서 말하는 개성이란, 제가 능력이 부족해서


    말로는 설명할 수 없지만 흔히 생각하면 괴팍하거나 거부감을 주는


    그런 개성이 아닙니다.


    이렇게 말하면 될까요. 같은 스토리를 써도 각자 다른 느낌을 준달까.


    저는 다양한 재미를 말하고 싶은 겁니다.


    같은, 비슷한 전개라도 분명 어던 작가가 쓰냐에 따라 재미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profile
    Yes-Man 2011.06.28 04:51

    확실히 개성이라는 말은 조금 광범위하긴 하군요.


    잘 생각해보면 윤주님이 말하는 개성의 범위에 제가 말하는 개성이 조금 포함되긴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의미 외에도.


    어쨌거나 지극히 개인적인 장르문학의 발전에 대한 방향제시라고 하겠습니다.

  • ?
    리트머스 2012.04.03 22:31

    어떤 작가님께서 소설이든 시든 어떠한 문학작품을 막론하고 잘 쓰려면 三多, 다독(多讀), 다상(多想), 다작(多作)을 고루 만족시켜야 한다는 말씀을 하신 게 떠오르네요. 저도 책좀 많이 읽어야 하는데... ㅋㅋ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0103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2177 1
17780 백룡마트 편의점 타이쿤 1 Yes-Man 2011.06.26 429 0
17779 이모부 패밀리와 1 아싸사랑 2011.06.26 491 0
17778 체력이 다운된 상태네요. 2 乾天HaNeuL 2011.06.26 513 0
17777 진짜 주부가 되어가려나... 1 Vermond 2011.06.26 503 0
17776 밤 좀 새보려고 했는데 2 Yes-Man 2011.06.26 431 0
17775 닉네임 아이디 관련. 2 乾天HaNeuL 2011.06.27 386 0
17774 코갓탤 류상은씨 3 아스페 2011.06.27 790 0
17773 테러 기준에 대해서 한마디 Vermond 2011.06.27 547 0
17772 노가다를 확 줄이는 2000/2003 패치 5 아름다운마을 2011.06.27 770 1
17771 비평계 글 올렸습니다. 2 乾天HaNeuL 2011.06.27 526 0
17770 주인공의 외모 설명. 2 乾天HaNeuL 2011.06.27 547 0
17769 비평계인가 그게 뭔가요 2 Yes-Man 2011.06.27 547 0
17768 비평계인가 이번만 나도 껴주세요 4 Yes-Man 2011.06.27 611 0
17767 그럼 어떻게 쓰면 되나요? 2 Yes-Man 2011.06.27 561 0
17766 진짜 매너좀 지킵시다 A. 미스릴 2011.06.27 435 0
17765 슬슬 졸리니 이만 퇴갤하겠습니다. 1 Yes-Man 2011.06.27 496 0
17764 큭...내일 오전 중으로 올리겠습니다. 3 시우처럼 2011.06.27 566 0
17763 비매너 1 닭느님 2011.06.27 542 0
17762 병원에서의 최고 돈 낭비. 8 乾天HaNeuL 2011.06.28 607 0
» 장르문학을 쓰는 자세. 6 Yes-Man 2011.06.28 1743 1
Board Pagination Prev 1 ...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 1176 Next
/ 1176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