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수의 갈등]

by 협객 posted Aug 09,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Prisoner B Stays Silent Prisoner B Betrays
Prisoner A Stays Silent Each serves six months Prisoner A serves ten years
Prisoner B goes free
Prisoner A Betrays Prisoner A goes free
Prisoner B serves ten years
Each serves five years

그림 출처: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Prisoner's dilemma란? 직역하면 "포로의 갈등", 의역하면 "죄수의 갈등". 줄임말로 PD라고 한다.


 


두 사람이 잡혔다. 이에 검사가 제안을 한다.


 
















죄수 B가 침묵을 지킨다 죄수 B가 배반한다
죄수 A가 침묵을 지킨다 둘 다 6개월 징역

A가 10년 징역


B가 무죄석방

죄수 A가 배반한다

A가 무죄석방


B가 10년 징역

둘 다 5년 징역


 


일단 나라면 죄를 지었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0년이건 5년이건 감옥을 별로 싫어하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위의 경우는 어떤 선택이 과연 합리적인가를 묻는 질문이다.


 


왜냐하면, 아래와 같이 될 수도 있으니까.


 
















포로 B가 침묵을 지킨다 포로 B가 거짓말한다
포로 A가 침묵을 지킨다 둘 다 6개월 징역

A가 사형


B가 무죄석방

포로 A가 거짓말한다

A가 무죄석방


B가 사형

둘 다 10년 징역


 


 


이런 경우를 이율배반적인 경우라고 하곤 한다.


 


첫번째 논증: A의 입장


1. B가 침묵을 지킬 경우, 내가 거짓말하면 무죄석방이지만 침묵하면 6개월이다.


2. B가 거짓말할 경우, 내가 거짓말하면 10년징역이지만 침묵하면 사형이다.


결론: 따라서, 상대방에 피해가 되더라도 내가 먼저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


 


두번째 논증: A의 입장


1.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B도 똑같이 생각할 것이다.


2. 둘 다 침묵을 지키면 6개월이다.


3. 둘 다 거짓말하면 10년이다.


결론: 따라서 침묵을 지킨다.


 


위와 같은 일은 현대 자본주의 경제사회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가게 B가 값을 지킨다 가게 B가 값을 내린다
가게 A가 값을 지킨다 둘 다 월 수입 600만원

A가 문을 닫음


B가 월 수입 1200만원

가게 A가 값을 내린다

A가 월 수입 1200만원


B가 문을 닫음

둘 다 월 수입 300만원


 


 


해커들의 윤리:
















프로그래머 B가 소스를 공개 프로그래머 B가 소스를 암호화
프로그래머 A가 소스를 공개 둘 다 600만원 가치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600만원에 팔린다.

B의 600만원짜리 프로그램이 독점을 통해 1200만원에 팔린다.


A의 300만원 가치의 프로그램이 안 팔린다.

프로그래머 A가 소스를 암호화

A의 600만원짜리 프로그램이 독점을 통해 1200만원에 팔린다.


B의 300만원 가치의 프로그램이 안 팔린다.

둘 다 300만원 가치의 프로그램을 만든다.


 


창조도시의 아마추어, 모두가 협력한다면 60%는 이룰 수 있는 꿈을 30%만 이루고 있는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