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 교육부의 발표는, 제게 있어선 상당한 놀라움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민족이 허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가지고 있던 저로서도, 설마 한민족 단일민족 개념을 정부 기관에서 포기하게 될줄은 생각도 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저 역시 지금 이때까지 한민족이란 우월성 아래 살아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번 발표로 인해서 가장 영향을 받게 될 것은 그 누구보다도 이 다음 세대, 곧, 교육부의 정책이 적용될 세대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발표가 끼칠 영향에 대해서는, 저는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과거 군국주의, 제국주의 일본은 일본 민족이 다민족임을 주장하여 전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만들었습니다. 이 시대에 일본학자들에 의해서 주장되었던 백제와 왜 황실의 연관성(지금 주장되고 있는 백제와 왜 황실의 연관성 주장과 같은 맥락이라고 주장하고 싶지는 않습니다)이라던가 내선 일체론, 일본내 아이누와 같은 소수민족 인정 등은 바로 이 시기 일본의 다민족정책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논리는 일본의 팽창 정책에 잠재적 힘이 되었을 것입니다. 일본 자국민의 반발, 식민지의 반발 등을 줄이기 위한 접근이면서, 일본의 팽창 정책을 정당화시키는 접근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와 같은 일이 한국에서도 일어나지 않을 거란 보장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금은 제국식민주의 시대가 아닌 만큼, 우리나라가 상당한 군사력 증강을 이룩하여 타 국가를 침략하는 일은 없겠지요. 하지만 다인종, 다민족 정책의 맥락에서 키워진 다음 세대는 그 이전 세대까지는 가지지 못했던 팽창력, 적극성 등을 보여줄 것입니다. 다른 민족, 다른 인종을 대하는데 더욱 유연하고 발전된 사고를 가지고 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죠. 이전 세대가 지녔던, 한민족이라는 우월 의식 등은 배제한 채로, 더욱 활발하게 대외 활동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이는 아마도 우리나라의 역량이 지금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데 충분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국민당 소득 2만, 3만 달러가 달성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비단 경제의 양적, 질적 팽창에만 있는 것이 아니겠지요. 결국 전 국가가 그에 합당한 조건을 갖추었을 때, 그러한 목표가 달성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만 덜렁 있다고 해서 곧장 도로를 내달릴 수는 없는 것처럼요(면허증, 교통 신호에 대한 지식, 운전할 수 있는 사람 등이 필요하겠죠. 연료도 물론 포함하고요).
물론 이 모든 것은, 다인종 다문화 개념이 적절히 수용되었을 때 이루어지는 것들입니다. 유림이라든가, 증산도라던가, 민족주의 세력들의 반발로 인해 이 개념이 수용되지 못했을 경우, 우리나라는 지금과 같은 상태로 남게 되겠죠. 민족 전체를 통합시키는 것은 가능할 지 몰라도, 혼혈인 등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소수파들의 역량까지도 통합시키지는 못할 것입니다. 수용된다고 하더라도, 그 개념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서 과거 일본의 군국주의로 탄생할 수도 있고, 현대적 개념의 국가 발전으로 나타날 수도 있겠지요.
결국 이것은 또 하나의 갈림길로 보여집니다. 아직 교육부의 교과서 개정 문제 정도긴 하지만, 결국 이 초석이 후일 대한민국 정부와 국가가 나아갈 길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이번 교육부의 정책이 결코 말로만 끝나지 않고, 미래로 나아가는 밑바탕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Who's misfect

profile

  "어쨌든 한 인간이 성장해 가는 것은 운명이다"

?

  1.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Date2016.10.24 By인디사이드운영자 Views10275 Votes0
    read more
  2.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Date2015.02.16 By천무 Views12362 Votes1
    read more
  3. 라엘리안!

    Date2006.04.02 By초인류국가 Views843 Votes0
    Read More
  4. 스크린쿼터 축소, 빗나가버린 언론플레이.

    Date2006.03.25 By로이초호기 Views584 Votes3
    Read More
  5. 초딩들에 관한 또 다른 관점

    Date2006.03.24 By아트매니아 Views675 Votes3
    Read More
  6. 창조도시를 보고 느끼는 것들에 대해.

    Date2006.03.22 By초요 Views750 Votes4
    Read More
  7. 창조도시가 쇠퇴의 길을 겪고있다?

    Date2006.03.21 Byflower Views905 Votes1
    Read More
  8. 우리가 정말 일본의 백제의 후손이라 생각한다면

    Date2006.03.20 By우주연방 Views714 Votes0
    Read More
  9. 게임동은 배려가 없는 커뮤니티다.

    Date2006.03.17 By『덩키동크』 Views610 Votes2
    Read More
  10. 게임에서의 언어

    Date2006.03.08 ByGame/over Views566 Votes1
    Read More
  11. RPG만들기의 잊혀져 버린 멋

    Date2006.03.07 By로이초호기 Views2178 Votes4
    Read More
  12. 기자가 그리도 대단한가.

    Date2006.03.04 By협객 Views597 Votes2
    Read More
  13. 윤도현밴드의 애국가 2006년월드컵 응원가사용

    Date2006.02.28 By삽살개 Views510 Votes0
    Read More
  14. 윤도현밴드의 애국가 2006년월드컵 응원가사용

    Date2006.02.28 By삽살개 Views648 Votes0
    Read More
  15. E스포츠 프로게이머 희롱 사건!! KBS에 올리고 싶다..!!

    Date2006.02.27 ByMiNi'M' Views835 Votes3
    Read More
  16. 윤도현밴드의 애국가 2006년월드컵 응원가사용

    Date2006.02.24 ByDoraemon Views743 Votes0
    Read More
  17. 용자물 그리고 그것에 대한 잘못된 생각

    Date2006.02.19 By크레시스 Views881 Votes3
    Read More
  18. 파일이 업로드되지 않습니다

    Date2006.02.18 By요즘들어 Views487 Votes1
    Read More
  19. 국산 패키지게임

    Date2006.02.17 ByFim Views654 Votes2
    Read More
  20. 게임에서 픽션과 논픽션, 당신의 선택은?

    Date2006.02.15 By네코군 Views505 Votes0
    Read More
  21. 김완섭 같은 사람들을 보면 궁금한것.,..

    Date2006.02.08 By[안타까운현실] Views661 Votes0
    Read More
  22. RPG제작툴 강의&요즘 게임은&문학동 이벤트

    Date2006.02.02 By카스-오로치 Views915 Votes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1165 1166 ... 1176 Next
/ 1176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