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3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근래 창조도시에 대한 말이 많던데, 제가 보기엔 아마추어 게임제작계... 아니, 정확히 말하면 쯔꾸르 유저계가 침체기입니다. (참고로 제 소개에 운영자라고 되어 있는 것은 곱게 무시해주세요. 졸업 앞둔터라 때려친지 몇달 됐는데 굳이 원래대로 할 필요를 천무님이 못 느끼신 듯합니다.)

일단, 저는...ㅡ.ㅡ;;; 아마추어 게임제작 때려쳤습니다. 예전에 때려치신 분이 글 올렸던 걸 본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큐마님이셨던가....?

일단 창도 침체기에 대한 천무님의 한 시각은 온라인게임 무료화였지요.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아마추어가 게임을 만드는 이유 중에 하나. 바로 "게임을 하기 위해 게임을 만든다"였습니다. 쯔꾸르 유저계에는 우리끼리 서로 만들어서 서로 게임을 하게 해주자는 무언의 약속이 있다고 믿는 분이 꽤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온라인게임이 무료화가 되니 제작자들도 꽤 쏠릴겁니다.

엑사포에서 다른분의 의견도 있었는데, rpg2000, 2003까지는 인기가 좋았는데 rpgxp로 넘어오면서 침체기가 급류를 탔다는 시각이었습니다. 저는 이 주장 역시 굉장히 설득력이 있다고 봅니다. 제가 때려친 이유와도 꽤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rpg2000, 2003까지만 해도 저는 솔직히 제작툴의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런데 rpgxp를 접하고 나서 저는 제 기술의 한계를 제대로 느껴버리고 말았습니다. 한편으로는 프로그래밍을 사용하기에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졌지만, 그것은 프로그래밍 수준이 매우 높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전문가의 수준. 그것은 아마추어... 아니, 쯔꾸르 유저로서는 감히 넘보기가 힘든 영역이었습니다. 물론 저도 rpg2000, 2003의 가능성은 높게 평가합니다만, rpg2000과 2003로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수 있을거라고 믿는 쯔꾸르 유저들에게, rpgxp의 스크립트는 한마디로 아스키에서 내뱉는 아래의 한마디와 같이 느껴지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리 잘났으면 니가 한번 해봐라"

ㅡ.ㅡ;;;;;
게임제작자, 특히 게임프로그래머가 전문직이라고 함에 손색이 없음을 저는 인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도의 전문지식과 전문기술이 필요한, 쯔꾸르 유저가 넘보는 수준의 "게임의 세계"가 아니라 "일의 세계", "생업의 세계"가 바로 상용게임제작이라는 것입니다.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게임제작이라는 것이 취미로 할만한 것은 못된다는 것을 깨달아버렸다고나 할까요. 예전에는, "프로에게는 프로의, 아마추어에게는 아마추어의 세계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게임제작의 세계에 아마추어의 세계는 아주 작은 마을에 불과합니다.

상용게임제작에 몸담을 생각이 아니라 게임제작을 애들 장난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절대 넘볼 수 없는 곳이 있다는, 게임제작을 만만하게 보는 한 사람에게 아스키가 가르쳐준 따끔한 가르침으로 와닿았습니다.
제가 본 rpgxp는, 쯔꾸르 유저나 아마추어의 세계라기보다는 게임프로그래머 지망생의 교재에 가까웠습니다. 전문성이 요구되는만큼 진지함이 필요한 영역이었습니다.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입니다."

단지 가볍게 재미를 찾아서 재미로 게임제작을 하는 사람들에게 아스키가 rpgxp를 통해 무언으로 던진 저 한마디. 그에 대해 제가 할 수 있는 대답은, "난,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다"였습니다. 프로는 대중을 위해서 대중의 호응을 위해 게임을 만들지만, 아마추어는 스스로를 작품으로 표현하기 위해 게임을 만듭니다.

하지만 과연, 나는 정말 아마추어인가. 여기에 저는 다시 한번 스스로를 돌아보았습니다. 아마추어 게임제작자라는 넓은 표현 속에서도 "쯔꾸르 유저", 단지 "쯔꾸르 플레이어"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하고 말입니다. rpg2003까지는 게임이었습니다만, rpgxp는 게임이 아니라 컴파일러입니다. 물론 스포츠도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가 있고 올림픽이 대표적이지요.

쯔꾸르로 시작한 창조도시. 다른 시각으로 본다면, 워크래프트나 스타크래프트 팬페이지와 마찬가지로, 쯔꾸르 시리즈 팬페이지에서 시작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쯔꾸르 시리즈 중에 제작사에서 저작권 포기한 것이 있다고 했었는데 무엇이었지요...?
아마도 2003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rpgxp에 제작사의 어떤 특정한 의도가 있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진정 제작자에게 있어 게임이란 무엇인가, 게임제작이란 무엇인가를 rpgxp처럼 잘 느낄 수 있게 표현한 작품도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증명되는 것은....

쯔꾸르 열기는 아마추어 게임제작에 대한 열기라기보다는, 쯔꾸르라는 또 하나의 "게임"에 대한 열기였기 때문에 유행이 지나면서 다른 게임에 밀리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남는 사람들은, 정말 게임프로그래머 지망생 또는 다른 아마추어 계층이거나, 아니면 적당히 매니악한 계층이겠지요.

게임으로서의 쯔꾸르를 다시 찾는다면 뭔가 달라지지 않을까요.
쯔꾸르를 게임으로 즐기는 법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른 게임이 나오면 시들해지는 일은 일반적이니...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0271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2341 1
23280 언젠가 올라왔었던 "혐한류" ♬LEDAT 2005.12.26 542 2
23279 소위 '일빠'에 대해서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Ian 2005.12.28 619 2
23278 창도 비속어 사용이 늘어나고있군요. 크레시스 2005.12.28 476 1
23277 험일류... 포튼 2005.12.28 589 0
23276 창도 가상국가화 우주연방 2005.12.29 506 1
23275 창조도시 Crimson.H 2005.12.29 722 11
» 아마추어 게임제작 때려치는 이유란 과연? 협객 2005.12.30 739 2
23273 군대 욕할곳은 아니다. 배도환입니다 2006.01.03 662 1
23272 창도 노매너 규제안. 래그래갈 2006.01.05 438 0
23271 욕하는 어린이들에 대한 제 견해. Crimson.H 2006.01.05 615 0
23270 정의와 선과 악. 또또님 2006.01.06 530 0
23269 캐나다에선 황우석 교수를 어떻게 생각할까. Mustart 2006.01.07 485 1
23268 심형래. 로이초호기 2006.01.07 538 2
23267 외국인에 대해서.... 『연금술사』 2006.01.08 494 1
23266 의료, 금융, 교육 자본주의에 맞게하자 우주연방 2006.01.09 408 1
23265 네이버에서 충격적인 글을 보았다. 죄인 괴수 2006.01.11 633 3
23264 창조도시 발전에 대한 제 견해 강수호 2006.01.12 479 2
23263 "누가 사형수를 죽이는가?" 로이초호기 2006.01.12 651 2
23262 한국이 미군을 붙들어놓는 이유는 대체 무엇인가? 협객 2006.01.12 618 1
23261 정치인을 욕하는 우리들 할말 있는가 세요우 2006.01.15 564 1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176 Next
/ 1176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