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01 17:44

게임의 힘

조회 수 725 추천 수 6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마다 좋아하는것은 다르다.

하지만 공통된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 사람들이 모인곳이 바로 同好會다.

한가지 좋을 모을

말그대로의 풀이처럼 한가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모은 것이다.

물론 굳이 거대한 조직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두명이상의 사람이 같은것을 좋아하는 것도 동호회라 할 수 있다.

좋아하기에 더욱 애착을 가질 수 있는 이것은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유대감을 준다.

우리에게는 그것이 바로 게임이다.

 

어린시절의 나는 세살 터울의 사촌동생네가 오기 몇주 전쯤이면

동생이 우리집에 와 있을 때는 항상 재밌게 지냈으면 하는 마음에

용돈을 꼬박꼬박 모아둔 돼지저금통을 깨고 그돈으로 게임CD를 사곤 했었다.

우리 둘다 게임만 있으면 시간가는줄 몰랐던 시절이기 때문이다.

내가 초등학교시절까지만 해도 게임은 한국에 많이 보급되지 않았었고

그전까지는 여느 동네 아이들처럼 술래잡기, 얼음땡, 땅따먹기, 오징어달구지, 다방구 같은

몸을 쓰는 놀이들을 했었고 그런 아이들에게 386컴퓨터의 흑백화면에 보이는 아케이드게임은

문화충격을 줄 만큼 강했다.

그리고 조금더 나이를 먹어 중학교에 입학 할 무렵

학교 앞 문방구엔 갓 나온 게임CD가 즐비했고 게임잡지는

만화책과 쌍벽을 이루듯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그 때 나는 RPG 만들기 95로 만들어진 게임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실제로 게임제작툴을 경험한 중학교 2년생의 나는 급속도로 빠져들었고

두달간 열심히 공부해서 다섯달만에 나만의 게임을 만들었고 사촌동생이 올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

그리고 고모네가 온 그 때.

나는 자랑스럽게 사촌동생들 앞에서 생애 처음 만든 첫 작 "환몽"을 선보였다.

어린 두 동생들은 지금의 나라면 눈길조차 보내지 않았을만한 퀄리티의 게임을

너무나도 재미있게 하며 나를 마치 신문물을 들고 온 선구자처럼 보았었다.

그 것이 내가 게임 제작에 빠져들게 된 시초였다.

 

나에게 게임이란, 방학때 아니면 볼 수 없던 사촌동생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만들었던 창작물이고

그 한번의 뿌듯함을 위해 내 어린시절을 바치게 한 원동력이다.

비록, 지금은 가족관계의 문제로 10여년동안 보지 못하는 동생들이지만

나는 아직도 게임을 제작하며 15년 전의 그 때를 생각한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 게임이란 어떤 의미인가?

부디 그저 순간의 재미를 위한 장난감일 뿐이진 않길 바란다.

자신의 게임을 하면서 재미를 느낄 사람들을 한번쯤 생각해보며

게임제작을 하길 바란다.

 

 

 

 

 

?
  • ?
    레스 2014.07.02 01:22
    저도 사촌을 위해 게임을 만들어 봤는데 요즘 시대엔 눈길도 안 주더군요...사촌이 계속 롤 얘기만 했습니다. 난 롤 않하는데...
  • ?
    서륜 2014.07.02 06:44
    하긴 요즘세대는 그럴 수도 있겠네요.
  • ?
    시르카 2014.07.02 03:24
    제게 잇어서 게임은 세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잇는 것 같습니다.
    다른사람들이 만든 걸 즐기게 되는 게임.
    다른 사람들이 즐길 수 잇도록 만든 나의 게임.
    나의 두번째꿈을 이루어 갈 수 잇는 매개체.
  • ?
    서륜 2014.07.02 06:45
    그것만으로도 당신은 좋은 제작자의 한가지 덕목을 가지신 겁니다.
  • profile
    각인 2014.07.02 15:45
    저에게 게임이란 단순이 즐기는것이 아니라
    연구해보고 또 적용시켜보는 호기심의 장입니다!
    스팀게임을 해보며 항상 느끼는 감정이지말입니다.
  • ?
    지브릴 2014.07.05 21:42
    음 저는 계속 바뀌다보니 이젠 모호해졋지만
    역시 모두가 즐겨야한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고요
    하나 더 넣자면 게임으로 뭔가 얻어가는 느낌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해요
  • ?
    먹자 2014.07.10 01:35
    나에게게임이란깨고싶은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제2회 인디사이드 게임제작대회 출품작 리스트. 189 인디사이드운영자 2016.10.24 10298 0
공지 인디사이드 활동 규정.(ver.20160119) 192 천무 2015.02.16 12374 1
23480 날강도디느님께. 날강도디느 2005.06.01 731 1
23479 게임 판타지의 약점을 잡아라! 케이시온 2005.06.02 665 0
23478 보신탕 먹지 맙시다. 1 포이즌 2005.06.02 834 0
23477 토론1 쇼스케♧ 2005.06.02 536 0
23476 국산 MMORPG의 흐름과 전망. 어떻게 보는가? 독고進 2005.06.02 1081 0
23475 보신탕 먹지 맙시다. 도지군 2005.06.02 583 0
23474 유럽합중국은 언제쯤 성립할 수 있을까??그리고 이에 대한 의견은? 우주연방 2005.06.02 565 0
23473 세계연합은 언제쯤 성립될 수 있을까? 우주연방 2005.06.03 627 0
23472 사후세계에 대해서 포이즌 2005.06.03 715 0
23471 낙태의 허용. 혹은 불허? 레드샤크 2005.06.03 759 0
23470 우리 인류가 우주로 진출해 외계문명과 본격적으로 교류하면 어떻게 될까??? 우주연방 2005.06.04 554 0
23469 인터넷 소설이 과연 '소설'인가? 이나시엔 2005.06.04 735 1
23468 외계인에 대해서 포이즌 2005.06.04 937 0
23467 연애시뮬의 현실성은 어느 정도인가? 협객 2005.06.04 791 0
23466 도데체 미국의 독주는 언제까지 계속 될 것인가... 마법학교졸업생 2005.06.04 671 0
23465 네오 소비에트가 성립될 가능성은??? 우주연방 2005.06.05 599 0
23464 문화상대주의를 어디까지 인정해야할까??? 우주연방 2005.06.05 615 0
23463 전생이란걸 믿으시나요?? J.gunS 2005.06.05 709 1
23462 창조론 믿는분들 있나요.... 걸인소년 2005.06.06 1010 1
23461 '타인'의 구분선은 과연 어디? 이나시엔 2005.06.06 613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76 Next
/ 1176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