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기타
2006.03.02 03:46

게임의 기획에 대한 내용.

조회 수 56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마도 게임 제작을 하시는 분들 사이에서도 가장 어렵고, 또한 제대로 잘 실행되지 않은 부분이
기획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창조도시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고 있노라면, 대강 게임 제작에 대한 기획이라던가... 그런 부분이
어느 정도 충실한지 알 수 있지요. 물론, 기획 부분이 충실한 게임은 그 비중이 상당히 적습니다.
인기작 중에서도 기획이 충실해서 인기작에 뽑힌 것 보다는 그냥 단순하게 새로운 시스템이나,
그래픽 때문에 뽑히는 경우가 더 많죠. 물론, 이것은 제 개인적인 기준에서 바라본 시각이므로,
실제와는 다를 수 있으나, 적어도 겉보기에는 그렇다는 것입니다.
어쨋든, 그러므로 게임 기획따위 머리아픈것은 알고싶지도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자연스럽게
위쪽에 있는 "[목록]"을 클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 게임 기획의 중요성.

  - 게임 기획의 중요성은, 무엇보다도 "게임의 짜임새"와 관련이 있습니다. 기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게임 스토리라던가 전체적인 세계관 등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게임 제작 도중에 시나리오가 바뀌어서 작업을 번복하게 된다거나... 세계관이 바뀌어서 게임 자체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제가 바로 그 경험자입니다. ㅠ_ㅜ)
   잘 짜여진 게임 기획은 50%의 게임성을 보장합니다. 계획이 제대로 잡혔으니, 실행만 하면 되는
거니까요. ^^



* 게임 기획의 순서.

  - 아마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리라 생각됩니다. 게임 기획의 순서. 다른 분들은 게임을 만드실 때
어떤 순서로 제작을 하시는 지 모르겠지만... 사실 게임을 만들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기획입니다. 이것은 마치, 그림을 그리려고 할 때 무슨 그림을 그릴 지 머리에 떠올리는 것과 같은
작업이지요. 그러면 게임 기획의 순서를 설명하겠습니다.
(* 덧. 게임 기획은 메모장이나 텍스트 프로그램에 내용을 적어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째. 게임의 세계관을 정하라.
  - 게임을 만들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은 게임의 스토리나 등장인물의 성격일 것입니다. 그러면 그
컨셉에 맞춰서 게임의 세계관을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주의 외계인과 싸우는 스토리인데, 세계관은
중세 판타지 세계관이라면 이상하겠죠. ^^
  세계관을 만들 때에는 기본적인 것은 모두 생각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적어도 세계를 이루고 있는
나라라던가, 중요 조직. 그리고 중요 인물 정도는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 가능하다면
게임 시나리오에 영향을 끼칠 만한 사건들이나, 역사같은 것들도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서력"
이나 "우주세기"처럼 연도수를 맞춰가면서 설정해주는 것도 좋지만, 게임에 영향을 끼칠 정도라면 아주
기본적인 부분만 설정해 둬도 무방합니다.("어떤 세계에 어떤어떤 나라가 있다"라는 정도로만.)

둘 째. 스토리와 캐릭터를 정하라.
  - 이 부분은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아마도 많은 분들이 게임을 제작할 때 가장 최초에 생각하는
부분일 것입니다. 앞에서 설정한 세계관에 맞춰서, 전체 시나리오를 적어둡니다. 보통은 메모장에
적어두는 것이 가장 편할 것입니다. 세부 시나리오나 이벤트 같은 경우는 적어두어도 좋겠지만,
귀찮으면 안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시나리오는 반드시 적어두시길 권합니다.
예를 들자면
"주인공일행은 어찌어찌해서 마왕을 물리쳤다"
...이런 식으로라도 전체적인 분위기를 글로써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광고문구에 나온대로,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라고 하니까요.

셋 째. 시스템을 정해라.
  - 아마 이 부분도 많은 분들이 게임 제작 전에 미리 생각해 두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이 부분에서 보통 게임을 액알이냐 턴알이냐 하는 식으로 나눠서 결정을 하고, 그 외에 소스의 문제라던가
하는 것을 결정할 것입니다. 소스를 자체 제작할 경우, 이 부분도 포함이 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소스를 제작할 때는 한꺼번에 제작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게임을 제작하다가 소스를
만들다가 하는 식으로 게임제작 시간을 허비하게 되면, 그 만큼 게임 제작쪽에 집중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게임 자체의 집중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자, 마지막으로 중요한 부분만 다시 한 번 짚어드리겠습니다.

- 세계관은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다.
- 스토리를 짤 때는 최소한 시작과 끝은 어떻게 되는지 기록해 두는 것이 좋다.
- 소스를 제작할 때는 한꺼번에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일단 기본적으로 위의 3가지 점을 유의하면서 기획을 하신다면, 게임 기획에서 크게 부족한 점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부족하고 스크롤의 압박이 느껴지는 글 보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그럼 이만.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1 언어/기타 게임 음악 기초 카스-오로치 2006.07.25 679
480 언어/기타 게임 프로젝트 관리 카스-오로치 2006.08.08 297
479 언어/기타 게임,개발기획의 기초 5 Grand 2011.08.01 2812
478 언어/기타 게임기초 쌓기! 천류지유 2006.08.08 1462
477 언어/기타 게임기획 및 시나리오 양식 10 리혜 2010.04.11 1071
476 언어/기타 게임마케팅 및 저작권(1) 카스-오로치 2006.08.08 281
475 언어/기타 게임마케팅 및 저작권(2) 카스-오로치 2006.08.08 241
474 언어/기타 게임마케팅 및 저작권(3) 카스-오로치 2006.08.08 233
473 언어/기타 게임마케팅 및 저작권(4) 카스-오로치 2006.08.08 235
472 언어/기타 게임에 사용되는 깔끔한 이미지소스편집 방법! 필기도구 2005.11.17 560
471 언어/기타 게임에도 종교가 있고, 활용가능하다면? 로안 2006.05.13 583
470 언어/기타 게임은 게임... 현실성을 너무 강조하지 말자. 다크아머 2006.03.17 578
469 언어/기타 게임을 상상형식으로 만들자. 히어로RPG 2006.03.31 479
468 언어/기타 게임을 시작한다음 튕기게 해보자(?) 4 file 켈군 2009.02.04 2947
467 언어/기타 게임을 포기하지 않고 제대로 만들어 보고싶다면. 비창 2006.06.28 934
» 언어/기타 게임의 기획에 대한 내용. 한글화마스터 2006.03.02 566
465 언어/기타 게임의 리얼리티화 유진 2007.08.16 2461
464 언어/기타 게임의 버전을 짜 보자! - 유의적 버전 2.0.0 Yanggaeng 2016.06.07 933
463 언어/기타 게임이란... 생각속에서 나오는 상상력으로... Hello_k 2006.02.19 411
462 언어/기타 게임제작 관리 카스-오로치 2006.08.08 28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6 Next
/ 36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