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lslel2016.12.03 06:29
제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자면...


1. 사전에 스크립트 흐름 1차 분석 (개념적인 정리)

Gama_Actor를 예로 들어 볼 때 대부분의 요소는

Character_Base에서 적용해주면 된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거나 메모를 하는 활동이겠습니다.


2. 호출순서에 따른 스크립트 줄 이동

스크립트 편집툴에서 찾기나 바꾸기, 줄 이동 기능을

사용해 메뉴얼적으로 스크립트 줄로 이동합니다.


3. 구문 오류 발생여부 체크

초심자 이상의 실력으로 구문의 오류를 파악합니다.

구문의 기본적인 틀과, 내부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의

처리방법 또한 아셔야겠습니다.


4. 새로 추가한 부분에 조건부 에러 출력문 작성

MV의 경우 throw 키워드를 사용한 커스텀 에러의

작성이 가능하므로 존재하는 에러 이외의 에러 종류를

정의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속도저하가 적게 일어나는 방식으로 작성을

하셔야 구현한 게임이 버벅대지 않습니다.

4. 의 방법은 단순하게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조건문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방법도 있지만,

throw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console 객체를

이용해 실행을 멈추지 않는 방법도 고려해볼만합니다.



5. 실행해보면서 중단점 사용하기

개발자도구 콘솔 창에서 디버그 탭으로 이동합니다.

의심되는 각 라인마다 중단점을 넣으시고 스크립트의

재생버튼을 눌러가면서 흐름을 따라가면서 살필 수

있습니다. 찾기, 바꾸기, 줄 이동 보다 편리하지만,

중단점을 적절한 수로 넣지 않으면 오히려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루프문에서 실행되는 함수에 중단점을 넣으신 경우에

반복적으로 방문하게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후원창구] | [인디사이드연혁]

Copyright © 1999 - 2016 INdiSide.com/(주)씨엘쓰리디 All Rights Reserved.
인디사이드 운영자 : 천무(이지선) | kernys(김원배) | 사신지(김병국)